'엥겔지수' 11년만에 최고 '식료품 물가 급등 탓'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가계소비에서 식료품비의 비중을 나타내는 '엥겔지수'가 11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엥겔지수가 높아지는 것은 가계의 생활형편이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일 한국은행의 국민계정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가계의 명목 소비지출(계절조정 기준)은 323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4.7% 늘었다. 같은 기간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은 6.3% 증가한 44조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상반기 가계 소비지출에서 식료품이 차지하는 엥겔지수는 13.6%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 하반기 14.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가계의 엥겔지수는 1970~1980년대 30~40%를 넘나들다가 생활형편이 나아진 1990년대 중반 이후에야 20% 아래로 낮아졌다. 그러나 이 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해서 오름세로 돌아섰다. 2008년 상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4년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경기불황으로 씀씀이가 줄어든 가운데 식료품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 가계의 명목 식료품 지출은 2008년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33.3%나 늘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물가 등 가격변동 요인을 뺀 '실질' 식료품 지출의 증가율은 5.7%에 그쳤다. 국제곡물가 상승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체감 경기가 악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반면 식료품을 제외한 가계의 지출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류와 담배 지출이 명목 가계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 2분기 2.1%로 통계가 집계된 1970년 이래 최저치다. 의류와 신발에 대한 지출은 5.1%로 지난 2007년 4분기의 5.5%보다 낮은 수준이다.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분기 7.7%를 기록했던 가계의 교육비 지출 역시 올해 2분기 6.6%로 떨어졌다. 올 2분기 음식과 숙박 지출은 8.3%로 2000년대 초반 수준을 유지했다.조강욱 기자 jomaro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강욱 기자 jomaro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