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 성장률이 서비스업에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3ㆍ4분기 제조업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3%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성장률(2.4%)의 절반 수준이다. 제조업 성장률이 서비스업에 역전당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4분기~2009년 2분기 이후 3년3개월 만이다. 수출 한국의 엔진이 식어가는 형국으로 우리 산업의 현주소에 대한 긴급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구조상 세계경제가 침체되면 수출품을 만드는 국내 제조업의 성장률이 낮아진다. 지난해 5~10%였던 제조업 성장률(분기별)은 올 들어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와 미국 경기 침체의 여파로 수출이 부진해지면서 2~4%대로 반토막났다. 급기야 3분기에는 현대자동차의 파업까지 겹쳐 제조업이 1%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서비스업에 추월당했다. 과거에는 수출이 부진해 제조업 성장률이 낮아져도 서비스업 성장률보다 높거나 어깨를 겨룰 정도였다. 하지만 근래 들어 서비스업에 역전당하는 상황을 빚는 것은 서비스업이 선전해서가 아닌 제조업체 생산시설의 국외 이전이 늘어난 탓이다. 실제로 주력 수출품인 스마트폰은 80%가 나라 밖에서 만들어진다. 자동차도 73%가 국외 생산품이다. 이러니 삼성전자와 현대ㆍ기아차가 스마트폰과 자동차 수출을 많이 해 이익을 크게 내도 국내에선 실감나지 않는다. 수출 중심 대기업의 실적이 좋으면 중소 하청업체와 내수에 도움이 된다는 낙수효과도 그전 같지 않다. 더구나 대기업 투자가 국외로 나갈수록 일자리 창출은 어려워진다. 정부의 연구개발(R&D) 비용 지원을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기업에 집중해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제조업을 부활시켜야 한다.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한 중국 내 인건비 상승과 규제 강화 등 투자 여건이 예전같지 않다. 이들 제조업의 국내 복귀를 유도하기 위한 과감한 유인책이 필요하다. 기업들도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 혜택과 K-POP 등 한류 열기에 따른 '메이드 인 코리아 효과'를 감안해 한국 생산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남도와 창녕시의 적극 지원 아래 2년 만에 창녕에 새 공장을 짓고 2000명의 일자리를 만든 넥센타이어는 좋은 벤치마킹 사례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