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후송 전용헬기 내년에 도입된다

미군의 의무수송헬기 [사진출처=유용원의 군사세계]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부상을 입은 장병들을 긴급후송하기 위한 의무(醫務)후송 전용헬기가 내년부터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의무후송 전용헬기는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부상 장병들을 배를 이용해 병원으로 옮기는 등 긴급 후송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에도 불구, 부처 간 예산 떠넘기기로 미뤄왔었다. 국회 국방위원회는 9일 예산심사 소위원회를 열고 의무후송 전용헬기 도입을 위한 예산 33억원을 승인했다. 군당국은 2017년까지 의무후송 전용헬기 8대를 도입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6명의 환자를 후송할 수 있는 첨단의료장비 등을 보유하고 야간 및 악천후에도 이동할 수 있는 최신 항법 장비를 갖추도록 했다. 현재 군은 긴급 의무후송 헬기 9대를 운용중이지만 모두 노후기종으로 야간비행조차 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국방위는 기획재정부 심의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던 공중급유기 도입사업 관련 예산 467억원을 통과시켰다. 이어도와 독도를 놓고 봐도 공중급유기는 필요하다. 한국의 주력 전투기 4종의 이어도와 독도 작전가능시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F-5는 이어도와 독도에서의 작전이 아예 불가능하며 F-4는 독도에서 3분 20초, 이어도에서 1분 20초만 작전이 가능하다. 또 KF-16도 독도에서 32분, 이어도에서 23분 작전이 가능하다. 최신예 전투기도 별 수 없다. F-15K는 독도에서 80분, 이어도에서 64분 작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독도를 넘보는 일본 항공자위대는 다르다. 2003년 주일 미군과 본토 영공에서 첫 공중급유훈련을 실시하고 공중급유기 4대 도입을 곧바로 결정해 배치했다. 독도상공에서 24시간 작전이 가능해졌다. 일본 해군도 오키섬에서 출동하면 독도까지 2시간50분, 시마네현 에토모항에서 출발하면 3시간18분 만에 도착할 것으로 군은 추정하고 있다.공군은 이같은 이유에서 2009년부터 공중급유기 도입을 추진해왔다. 2017년까지 1조4000억원을 들여 공중급유기 4대를 도입하는 게 목표다. 국방위는 또 논란이 되고 있는 K-2 전차 파워팩의 경우 1767억 중 내년도 예산 435억원을 조건부 승인했다. 군은 K-2 전차의 국산 파워팩(엔진+변속기)이 시험평가에서 군 요구성능을 충족하지 못하고 기술적 결함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K-2 전차 1차 생산(100대)에 필요한 파워팩을 독일에서 수입하기로 했었다. 국방위가 제기한 독일산 파워팩 수입 조건부는 오일누수 현상 등 11건에 대한 수락검사를 통과, 100km연속주행, 8시간 연속가동시험 등이다. 또 K2국산소총 예산을 178억원 늘려 355억원을 통과시켰다. 일부 부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노후된 소총을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또 육군에서 소요제기한 저격용소총 800정에 대해 39억을 배정했다. 육군에서 사용하는 오스트리아제 SSG-69 저격소총은 3400만원, 해병대 특수수색대의 스위스제 SSG-3000은 3000만원이다. 대물용저격소총인 AW-50F는 2300만원 정도다. 현재 군은 국내 방산기업에서 자체개발한 저격용소총 구입을 검토중이다. 국방위 여야 의원들은 9일 국방위 전체회의를 열고 제주해군기지와 아랍에미리트(UAE) 파병 연장안 통과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제주해군기지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은 내년도 제주해군기지 건설 예산 2000억원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새누리당은 절대 불가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랍에미리트(UAE) 파병 연장과 관련해서는 일부 민주당 의원이 여전히 UAE 파병이 헌법적 근거가 없고 국민적 동의도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파병 연장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도 예상된다.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