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GCF 유치, 녹색성장 글로벌 허브로

우리나라가 그제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에 성공했다. GCF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국제금융기구로 환경분야의 세계은행격이다. 신생 기구지만 앞으로 국제통화기금(IMF)에 버금갈 정도로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이처럼 비중 있는 대형 국제기구를 유치한 것은 처음으로 유엔 안보리 이사국 재진출에 이은 낭보다. GCF 유치의 의미는 각별하다. 우리나라가 지구촌 화두인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의 글로벌 허브로 떠오르면서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이 한층 커지게 됐다. 앞서 신설한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성장기술센터(GTC)와 함께 이른 바 '그린 트라이앵글'을 구축한 것도 성과다. 2010년 기준 27개로 불모지나 다름없는 국제기구 유치 작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효과도 상당할 전망이다. 국제기구 인력이 상주하면 그에 따른 지출과 생산유발,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국제회의가 열리면 숙박, 관광 등 서비스 산업 활성화도 뒤따를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주재원 500명 기준으로 연간 3800억원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인천의 지역 경제 발전도 기대할 수 있다.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GCF 사무국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GCF가 가야 할 길은 아직 멀다. 기금 조달이 가장 큰 과제다. 2020년까지 선진국들이 연간 1000억달러를 조성하기로 했지만 지금부터 매년 1000억달러씩인지, 2020년부터 1000억달러인지가 모호하다. 누가 얼마를 낼지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유럽연합과 미국의 재정 상황으로 미뤄 연간 1000억달러 조성이 여렵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점도 걸린다. 국제기구 유치의 효과는 거저 얻어지는 게 아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6위, 증가율로는 1위다. 앞으로 우리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은 더욱 커질 것이다. 관련 규제를 더는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빈곤국 지원에도 솔선수범할 필요가 있다. '그린 선진국'으로 인정받으려면 그에 걸맞은 책임도 떠안아야 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