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손 당신, 푸어중년

필요한 자금 절반이 펑크났소KB경영硏, 25~59세 3700가구 조사자녀교육·결혼자금 대느라 노후 준비 못해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60세 미만 비은퇴 가구가 노후에 매달 수령할 수 있는 자금은 평균 109만원으로, 필요자금인 235만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6일 맞춤형 노후설계 서비스인 'KB골든라이프' 설명회에서 "국내 25~59세 3700가구의 노후 준비 수준을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에 53.3점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재무 조건만을 반영한 재무준비지수는 46.3점으로 조사돼 비은퇴가구의 노후자금 준비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신가구(61.0점)에 비해 부부가구(41.5점)의 재무준비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부부가구 중에서도 자녀가 있는 가구(40.3점)가 무자녀 가구(55.7점)에 비해 15.4포인트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자녀의 양육, 교육, 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자녀가 있는 가구주들의 노후 준비가 취약해진 탓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40대 가구의 39.8%, 50대 가구의 46.2%는 노후준비자금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 '자녀 교육비ㆍ결혼자금'을 꼽았다.  연령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재무준비지수가 낮아져 50대의 경우 39.9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부터 노후준비를 시작한 경우 재무준비지수는 평균 66~71점, 40대 중반 이후부터 준비를 시작한 경우 평균 50점으로 '노후준비는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직업에 따라서는 공무원 가구(68.2점)가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반면 자영업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는 34.5점으로 공무원 가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해 직업별 편차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KB경영연구소는 거주 주택과 같은 부동산 자산 활용이 노후준비 부족을 보완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연금(역모기지) 등을 활용해서 부동산자산을 노후자금으로 유동화할 경우, 비 은퇴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는 46.3에서 57.7로 11.4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부동산 보유율이 높고 노후준비는 부족한 50대 가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은퇴가 다가오는 베이비부머 가구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KB금융은 이날 명동 롯데호텔에서 연령대별 고객 대표들을 초청, 맞춤형 노후설계 서비스인 'KB골든라이프' 설명회를 열었다. 'KB골든라이프'는 새로운 노후설계시스템을 통해 고객별 노후준비수준을 진단하고 'KB골든라이프연구센터'에서 추천하는 노후설계 컨설팅과 KB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취업ㆍ창업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노후준비지원 종합서비스다. KB금융은 개인별 노후준비수준 진단을 위해 'KB노후준비지수'도 새롭게 개발했으며,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금융서비스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KB골든라이프연구센터'도 열었다. 이 센터는 향후 KB금융의 노후상품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진두 지휘할 방침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어윤대 KB금융 회장은 "KB골든라이프 서비스는 고령사회를 잘 준비해 나가는데 필요한 최적의 노후 설계 솔루션"이라며 "고객들의 노후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와 상품 개발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