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가계ㆍ자영업ㆍ중소기업에 이어 대기업도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모습이 확연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위기 체감 및 대응 현황'을 조사한 결과, 조사에 응한 25개 그룹 중 90% 이상이 '현재 위기의 심각성이 2008년 금융위기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고,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3%에 못 미칠 것'이며,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하고 있거나 가동을 검토 중'이라고 답변했다. 롯데ㆍ포스코ㆍKT 등 3개 그룹은 이미 대외적으로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계열사 재편, 시나리오 경영 등을 실시하고 있다. 13개 그룹은 대외적으로 선포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비상경영을 실시하고 있고, 7개 그룹은 비상경영 가동을 검토 중이다. 30대 그룹이라면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 걸쳐 우리나라 간판급 대기업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상장회사 총 매출액에서 70%에 육박하는 비중을 차지한다. 이런 대기업들이 속속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면 사실상 한국경제 전체에 비상이 걸린 것과 같다. '현재의 위기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의 분포는 올해 하반기 1곳, 내년 상반기 4곳, 내년 하반기 13곳, 2014년 3곳, 2015년 이후 4곳이다. 이는 대다수 대기업이 앞으로 1년 이내에는 경제위기가 해소되기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뜻이다. 장기전을 각오하고 비상경영에 돌입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이번 전경련 조사의 함의에 주목해야 한다. 정부는 대통령 임기 말이라고 해서 긴장의 끈을 놓거나 해야 할 일을 미루어 다음 정권으로 넘기려고 해서는 안 된다. 여야 정당과 대선 주자들은 다음 정권의 임기를 포함한 미래의 국가운영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면한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책을 제안하는 경쟁에도 나서야 한다. 유권자는 5년 뒤, 10년 뒤의 낙원에 대한 공약보다 오늘의 일터와 생계에 직결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태도에 더 감동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대기업들은 경영상 어려움으로 내수판매 부진(응답률 46%)과 수출 애로(29%), 경기부양을 위해 정책으로는 '규제완화 및 신규규제 도입 지양'(6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 세 가지 방향에서 정부의 적절한 정책대응이 요구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