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제유가 10%p 상승시 국내생산 0.07%p 감소'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유가 고유충격으로 유가가 상승하면 국내 생산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가운데 자동차와 IT업종의 생산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6일 한국은행의 '유가 변동요인이 산업생산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유가가 10%포인트 상승하면 국내 생산이 0.07%포인트 줄었다. 이는 글로벌 경기와 무관하게 국제원유시장 자체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유가 고유충격'에 따른 것으로 유가변동의 영향은 대략 6개월의 시차를 두고 본격적으로 나타났다.업종별로는 12개 업종 가운데 7개 업종의 생산이 줄었다. 특히 석유제품을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와 수출 의존도가 65%로 높은 IT업종의 생산이 크게 감소했다. 한국은행의 배성종 산업분석팀 차장은 "자동차는 7개월 이후부터 파급효과가 본격화되기 시작해 13개월 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IT제조업은 3개월 이후부터 유가 충격의 파급효과가 본격화돼 대체로 9개월이 지난후 감소폭이 정점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기장비ㆍ기타기계, 목재ㆍ펄프ㆍ종이,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화학, 음식료, 섬유 등의 순으로 생산의 감소폭이 컸다.반면 조선과 석유정제, 1차 금속,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비금속 광물 등 5개 업종의 생산은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제유가 변동요인을 ▲원유의 생산량이 변동해 생기는 충격 ▲세계 경기ㆍ유동성에 따른 수요충격 ▲미래 선수요 등을 반영하는 유가 고유충격 등 세 가지로 나눴다. 원유생산 충격은 원유의 세계 생산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충격은 지속기간이 짧아 국내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발생할 경우 글로벌 수요가 늘면서 유가 상승 효과를 압도해 국내 생산이 증가했다.한은은 "유가 충격을 완화하는 산업정책은 유가 변동이 어떤 요인으로 발생하는지 식별해 추진해야 한다"며 "유가 상승이 길어질수록 파급 효과도 커질 수 있으므로 유가 상승의 지속기간에 따른 대응 정도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조강욱 기자 jomaro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강욱 기자 jomaro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