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계열 저축銀, 수신고 '반토막'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국내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들이 출범이후 줄곧 낮은 금리를 유지해 온 탓에 수신고가 절반 가까이 줄었다. 외형 확장 보다는 내부 수익성 제고를 위한 의도적인 몸집줄이기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 KB, 우리, 신한 등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들의 수신고가 절반으로 줄었다.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가운데 수신금리가 연 4.0%(정기예금 기준)로 가장 낮은 KB저축은행의 수신액은 올해 초 1조5000억원에서 최근 7000억원으로 반토막 났다. 하나저축은행 역시 같은 기간 1조800억원에서 5200억원으로 수신고가 줄었다. 하나저축은행의 경우 한동안 4.2%로 업계 상위 수신금리를 유지했지만, 최근 금리를 4.0%로 낮추면서 빠른 속도로 수신액이 감소하고 있다. 신한저축은행 역시 연초 1조5600억원에 달하던 수신고가 6600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출범 당시 약속했던 '저금리 대출' 상품 역시 찾아보기 쉽지 않다. 대부분 실적이 저조하고, 눈에 띄는 마케팅을 전개하는 곳도 없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출 실적 역시 지속적인 감소세다. KB저축은행의 여신 잔고는 인수 직전 57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하나저축은행은 4200억원에서 3600억원으로 줄었다. 신한저축은행 역시 5300억원에서 440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는 외형확장 보다는 영업 기반을 다지는 데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라면서 "기존 역마진 구조가 해소되기 전까지는 적극적으로 여ㆍ수신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김현정 기자 alpha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김현정 기자 alphag@<ⓒ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현정 기자 alpha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