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이후 일본 對韓 투자 급증

지난해 2분기~올 1분기 동안 28억4000만달러…29.8%↑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동일본 대지진 이후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투자가 부품·소재 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3일 '일본의 대한(對韓) 투자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동일본 대지진 이후 1년간(2011년 2분기~2012년 1분기)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투자는 28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29.8% 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이 한국의 최대 투자국으로 떠올랐다. 특히 부품·소재 분야에서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국내 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고 연구개발(R&D) 활성화 및 국내 고용 확대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일본의 대한 투자가 급증한 것은 기업의 경영여건상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환율과 법인세율·전력요금·자유무역협정(FTA)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에서 일본보다 낫다는 것이다. 반면 일본 기업들은 ▲엔화 강세 ▲높은 법인 세율 ▲인건비 부담 ▲엄격한 환경규제 ▲FTA 체결 지연 ▲대지진 이후 전력 수급 불안 등 이른바 6중고를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 기업들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해외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일본의 대한 투자 확대는 삼성·LG·현대차 등 국내 대기업들의 부품·소재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스미토모화학(터치패널 공급)·덴소(맞춤형 자동차 부품)·OSG(절삭공구) 등은 주요 고객인 한국 기업의 최신 제품 개발 및 생산과정에서부터 이에 부응하는 부품·소재를 개발·공급하기 위해 대한 투자에 나섰다.또한 아사히카세이·미츠비시레이온 등은 대한 투자를 통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유럽연합(EU)·미국 등 세계 주요 시장과 구축된 우리나라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해 수출 확대를 꾀하고 있다.일본 대한 투자의 주요 특징은 발광다이오드(LED)·터치패널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2차 전지·탄소섬유 등 첨단 부품·소재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도레이(탄소섬유)·우베코산(휘어지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기판)·알박(한국초재료 연구소) 등이 대표적이다. 이 밖에 JX닛코닛세키에너지(GS칼텍스·SK루브리컨츠·SK종합화학 등과 합작)·미츠비시화학(포스코켐텍과 합작) 등은 우리 기업과의 합작사 설립 및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제품을 개발·생산하고 있다. 국내 공급은 물론 제3시장으로의 수출도 도모하고 있다. 명진호 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수석연구원은 "한·EU, 한미에 이어 한중 FTA까지 체결될 경우 대한 투자가 크게 늘 것"이라며 "한국이 생산 거점 및 수출 기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민규 기자 yush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