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 났다. 네 명의 아이를 입양했던 박사는 죽었고, 그들의 유모 메리(추정화)는 전신화상을 입었으며, 아이들은 살아남았다. 아이들에겐 화재사건 전후의 기억이 없지만, 사건은 그들에게 큰 트라우마로 남았다. 첫째 한스(정상윤)는 알콜중독에 빠졌고, 둘째 헤르만(강하늘)은 더욱 감정적이 되었으며, 막내 요나스(김대현)는 공황장애와 언어장애를 동시에 앓고 있다. 그리고 유일한 여자아이였던 안나(임강희)는 말을 아꼈다. 매일 밤 동화책을 읽어주고 그들을 구출해낸 메리는 사라졌지만, 12년 후 자신의 명예를 되찾기 위해 혹은 진실을 알기 위해 다시 이 사건을 꺼내든 변호사 한스로 인해 직면하지 않았으면 했던 기억의 문이 열리기 시작한다. 그 문 앞에서 <블랙메리포핀스>(이하 <블메포>)는 묻고, 아이들은 대답한다. 기억이란, 무엇인가.<hr/>
수많은 모서리에서 질문을 던지는 문제작
스릴러라는 장르에 걸맞게 <블메포>에는 긴장감이 가득하다.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을 회전무대에 담았고, 베일에 싸인 기억은 겹겹이 쌓인 벽으로 풀어냈다. 직관적으로 보이는 것이 아닌 의미를 찾아내야 하는 안무와 연신 음울하게 흘러나오는 피아노 선율 역시 마찬가지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만화 <몬스터>부터 뮤지컬 <쓰릴 미>에 이르기까지 장르를 불문한 수많은 레퍼런스들이 떠오르고 후반부의 반전이 아쉽지만, 나름의 뚝심으로 미스터리를 구축해낸 서윤미 작가는 스릴러를 표방했던 그의 전작 에서 크게 진일보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 힘을 실어준 것은 배우들의 호연이다. 특히 장남 한스 역의 정상윤은 툭툭 내뱉는 대사 톤으로 끝을 알 수 없는 길에서 헤매이는 자의 피로감을 생생하게 그려냈고, 안나 역의 임강희는 자신이 가진 청아한 목소리와 단정한 이미지로 인해 안나의 상처를 들여다보는 순간의 분노를 더욱 극적으로 표현해낼 수 있었다. 흩어진 구슬은 제법 무난하게 꿰어져있다. 하지만 <블메포>의 장르가 ‘뮤지컬’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극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해내지 못하는 음악은 작품 안에서 가장 큰 문제로 작용될 수 있다. 서곡 격인 ‘1926년 그라첸 박사 대저택 화제사건’을 제외하고는 단 한 대의 피아노만이 반복적인 선율을 쏟아낸다. 이는 극의 중요한 모티브로 쓰일 수 있지만, 네 남매 사이에 흐르는 묘한 관계와 캐릭터의 심리상태, 이야기의 흐름을 끌고 가기에는 너무 단조롭다. 가사를 지우면 16개의 곡에서 큰 차이를 느낄 수 없다는 것은, 결국 지금의 음악이 가사를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그래서 <블메포>는 뮤지컬보다는 음악극에 더욱 가깝다. 이 같은 문제는 <블메포>와 비슷한 시기에 개막한 또 다른 창작뮤지컬 <풍월주>에서도 계속된다. 바이올린부터 해금에 이르기까지 현악기와 타악기를 이용한 다양한 음색은 <블메포>에 비해 음악적, 뮤지컬적 가능성을 내포했지만, <풍월주> 역시 극의 서사를 이끄는 음악으로서는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음악이 쓰이는 연극이 많아졌고, 연극적 서사의 뮤지컬도 많아졌다. 엔터테인먼트 장르간 문턱이 낮아지고 새로운 창작진들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장르별 법칙을 꼭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법칙이라 이름 붙여진 것에는 긴 이유가 있다. 공연은 7월 7월 29일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1관.사진제공. 아시아브릿지컨텐츠10 아시아 글. 장경진 three@<ⓒ즐거움의 공장 "10 아시아" (10.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편집팀 글. 장경진 thre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