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 1년] <중> 업계는 지금 체질 강화중

사옥 매각·유상증자 '군살 대신 근육'PF대출 17조→4조·BIS비율 10% 이상 개선[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지난해 혹독한 구조조정을 겪고 살아남은 저축은행들은 올해 '생존'을 위한 체 질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엄격한 건전성 관리는 물론 '서민금융'이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한 다양한 상품을 개발중이다. 금융지주사로 편입된 저축은 행들은 안정성을 무기로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 객 신뢰가 크게 추락한데다 아직도 여진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를 낙 관하기 힘든 상황이다. ◆'생존' 몸부림 여전 = "지난 IMF 사태 이후 저축은행 업계가 이렇게 어려움 에 빠진 것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직원들 대부분이 입사 이래 처음 겪는 혼란 이지만,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저축은행 업계에 종사한지 22년이 됐다는 한 임원은 최근 상황을 이같이 표현 했다. 그만큼 생존이 절박하다는 뜻이다. 솔로몬저축은행은 역삼동 사옥 매각 과 100억원 유상증자에 이어 최근 대치동 본사 사옥 매각에 성공했고, 한국저 축은행 역시 지난해 300억원 유상증자, 200억원 규모의 사옥매각을 진행했다. 또한 현대스위스저축은행도 계열사 매각을 검토하는 등 몸집 줄이기에 집중하 고 있다. 이밖에 업계는 여신관리 인원 충원 및 시스템 점검 등을 통해 정상자 산 확대와 부실채권 상각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업계의 자구 노력에 따라 건전성 역시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 저축은행 부실의 원인이 됐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비중은 17조6000억원에서 영업정지 사 태 후 4조7000억원 규모로 줄었다. 2010년 말 평균 9.83% 수준이었던 국내 저 축은행 BIS 비율은 9월 말 현재 10.31%으로 소폭 개선됐다. 9월 이후 대부분의 부실저축은행 인수 및 유상증자, 자산매각이 진행됐음을 감안하면 지난해 말 기준 BIS비율은 큰 폭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된다.금융당국은 지속적인 관리감독 강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현행 BIS비율 5% 미만은 권고, 3% 미만은 요구, 1% 미만은 명령을 받지만 2014년부터 자산 2조 원 이상 대형 저축은행은 BIS비율이 각각 6%, 4%, 2% 일 때 적기시정조치를 받 는다. 2016년에는 권고 7%, 요구 5%, 명령 3%로 각각 상향 조정된다.◆불안과 기대 공존 = 저축은행에 대한 고객의 불신은 가시지 않고 있다. 대형 금융지주사를 등에 업고 새 간판을 내걸어도 예금의 60% 이상이 빠져나간다. 업계와 금융당국이 BIS 비율을 비롯한 각 저축은행의 현황 언급을 극도로 꺼리 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잘못된 정보 유출이 '뱅크런'으로 직결될 가능성을 배 제할 수 없다. 당국의 중복규제 및 감독에 대한 불만도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대검찰청 중 앙수사부,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등으로 꾸려진 합동수사단과 각 단체의 개별 조사가 저축은행을 상대로 수시 조사를 진행하는 탓에 정상적인 영업에 어려움이 많다는 주장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업계에서는 '저축은행 뉴스는 수사, 구속, 자살로 일관되고 있다'는 자조섞인 얘기까지 나온다"면서 "시어머니가 늘어나고, 중복 검사가 이어지다보니 사기가 크게 떨어진 상태"라 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는 PF에 지나치게 집중하던 기형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서민금융' 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기능을 되찾을 기회라는 기대감도 드러내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새로운 먹거리를 찾거나 해외에 진출하려는 등의 '외도' 보 다는 서민금융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다양한 사업에 손을 댄 대형 저축 은행보다는 지역밀착형 소형사들이 오히려 희망이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김현정 기자 alphag@<ⓒ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현정 기자 alpha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