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효과 ?' 뉴타운 및 재개발 '거래 문의 두절'

박 시장 '개발 속도 조절 공약'으로 사업 초기 단지 사업 지연 불가피

-대규모 개발방식 바꾸겠다는 말에 거래문의마저 끊겼습니다-'박원순 한파'에 뉴타운 淚타운

서울시 서대문구 아현뉴타운 현장. 아현뉴타운 3구역은 지난 7월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 이민우 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의 취임 이후 서울시의 뉴타운·재개발 시장은 사업장별로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사업진척이 빠른 곳은 개발혜택과 희소성 등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기대감이 나타난 반면 추진 속도가 떨어지는 곳은 사업 축소나 전면 백지화 우려를 보이고 있다. 단지별 양극화가 예상되는 부분이다. 박 시장이 내세운 공약은 '재개발 과속방지'와 '뉴타운 전면 재검토' 등이다. 시장 취임 후 민생현장을 찾은 자리에서도 "기존 방식으로 재개발을 하면 원주민들의 재정착이 어려워 삶의 뿌리가 무너진다"며 "뉴타운이나 대규모 개발방식을 개선할 것"이라 말해 기존 개발사업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에 재개발 시장의 반응은 썰렁하다. 특히 사업지 가운데서는 가장 최근 서울시가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한 10곳(지정면적 54.9ha)이 추진 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다. 대상은 ▲광진구 군자동·중곡2동 ▲강동구 천호동 ▲동작구 신대방동 ▲영등포구 신길동 ▲종로 충신동 ▲서대문구 홍은동 ▲성동 금호동 등 10곳으로 박 시장 취임 직전에 서울시가 지정한 지역이다. 강동구 천호동의 J공인중개소 관계자는 "구역 지정 소식이 나간 후에도 문의 전화가 거의 없다"라며 "경기가 안좋은 데다 말그대로 정비 '예정' 구역이라서 사업이 언제 추진될지도 모르는 일이라서 호재가 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서대문구 홍은동의 S공인중개소 관계자 역시 "투자 문의는커녕 거래 문의조차 없다"라고 전했다. '재검토' 비상에 걸린 뉴타운 사업은 사업속도에 따라 반응이 엇갈린다. 전면 궤도 수정이 불가피한 만큼 추진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지구에선 대폭 축소나 백지화 가능성도 높다. 현재 서울시내 뉴타운 사업구역(균형촉진지구 포함) 241곳 중 30% 가량인 70곳은 조합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도 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 최대 뉴타운 구역이자 공공관리제 시범구역인 한남뉴타운의 H부동산중개소 대표는 "박 시장 당선 직후 부터 갑자기 매물이 늘어나고 매수하려던 사람도 의사를 포기했다"라며 "2~3년 전 투자했던 사람들도 5000만~1억원씩 손해보고 매도하려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언제 개발이 된다는 보장도 없고 이자부담까지 더해 투자가치가 지나치게 떨어졌다"라고 덧붙였다.

한남뉴타운은 서울에서 가장 큰 뉴타운 구역이자 공공관리제 시범구역이다.

사업 초기 단계 지역에서는 아예 일부 주민들이 뉴타운 지구 지정 철회까지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노원구 상계뉴타운의 한 주민은 "선거 전 박원순 시장이 이 지역에 유세왔을 때 뉴타운 사업 반대여론을 충분히 전달했다"라며 "그 때 박 시장이 '재검토해보겠다'라고 답했는데, 사업 반대 주민들은 여기에 기대를 걸고 있다"라고 말했다. 반면 뉴타운 사업이 진척을 보인 곳은 '사업조정'이 호재가 될 수도 있다. 이미 사업속도가 붙은 만큼 이들 구역을 원점으로 되돌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오히려 원주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업 속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 몇 안되는 '뉴타운 완성지'로 희소성을 띠게 돼 개발 혜택도 톡톡히 누릴 가능성도 있다.서울 서대문구 아현뉴타운의 T공인중개소 관계자는 "뉴타운 지역 중에서도 이미 착공했거나 세입자들이 이주한 지역은 반사이익을 기대해볼만 하지만 착공하지 않은 지역은 불안감에 문의전화가 많이 온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아현뉴타운은 가장 사업진척이 더딘 아현3구역이 지난 7월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동작구 흑석뉴타운에 위치한 M부동산중개소 관계자는 "입주하거나 공사 중인 구역은 투자자들이 훨씬 안심하고 있다"라며 "재검토 소리가 나오고 있는 다른 지역보다는 여기 상황이 더 나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김인만 굿멤버스 대표는 "뉴타운, 정비구역 내 부동산은 기대심리가 꺾이면서 투자수요가 감소하게 된다"라며 "결국 서울도심 개발호재를 믿고 투자한 사람들의 재산상의 피해도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이민우 기자 mwle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민서 기자 summer@편집부 이민우 기자 mwle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