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글로벌 유동성 파악이 핵심'

[아시아경제 채지용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26일 "글로벌 유동성 파악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이날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김 총재는 "글로벌 유동성이 국제문제의 키워드가 되고 있다"며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조절하는 판단에 있어 글로벌 유동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현재 글로벌 경제만 있고 국제 경제질서는 없는 상황"이라며 "중앙은행 간 모입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고 덧붙였다. 각국이 서로 공조하고 정보를 공유해서 불확실성이 줄이는 것이 중요하는 것이다.김 총재는 "17개국이 회원인 유로존에서 재정위기가 발생했는데 현재는 27개 회원국의 유럽연합(EU)에서 이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며 "앞으로 주요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도 논의되면서 국제공조가 넓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김 총재는 또 중앙은행의 새로운 역할을 강조하고 나섰다. 중앙은행의 역할이 과거처럼 물가안정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그는 "과거 핵심이슈가 아니었던 금융안정, 재정정책, 구조조정 정책 등이 중앙은행의 책무에서 중요해졌다"고 말했다.한편 일본에 이은 한국과 중국의 통화스와프 확대에 대해서는 김 총재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아 사실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암시를 남겼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창로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상근부회장, 박원암 홍익대 교수, 송병준 산업연구원장, 이성한 국제금융센터 소장,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황중연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채지용 기자 jiyongcha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채지용 기자 jiyongcha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