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들 '보이콧'에 발목잡힌 藥안전시스템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혜정 기자]복지부가 1일부터 전국 약국에 구축하려던 '의약품 안전시스템'이 출발도 못해보고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 감기약 슈퍼판매 등 복지부 정책에 불만을 품은 약사들의 보이콧 때문이다. 이 시스템은 환자들의 약 처방·구입 기록을 살펴 중복투여 등을 예방하는 서비스로 복지부가 지난 몇 년간 야심차게 준비해온 사업이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일부터 약국판매약 DUR 사업을 시작하기로 하고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등 모든 준비를 끝마쳤다. 하지만 시행을 앞두고 대한약사회가 돌연 DUR 사업참여 거부를 선언하고 나섰다. 박인춘 대한약사회 부회장은 "최근 복지부 정책이 의약품 안전사용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복지부가 관련 입장을 명확히 할 때까지 사업참여가 어렵다"고 말했다. 감기약 슈퍼판매 방침을 철회해야 DUR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의미다. 현재 두 업체가 DUR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한 상태인데, 약사회의 배포지시가 없으면 프로그램이 약국에 깔릴 수 없다.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한 곳은 약사회 산하기관이며, 민간업체인 또 한 곳은 약사회 눈치를 보느라 프로그램 보급을 보류하고 있다. 이 제도가 약사들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는 만큼, 복지부 입장에선 약사회를 설득하는 것 외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복지부 의약품정책과 관계자는 "개발업체가 인터넷 상으로 프로그램을 배포하면 DUR은 바로 시작할 수 있다"며 "하지만 약사회가 입장을 바꾸지 않는 한 사업이 정상적으로 시작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DUR(Drug Utilization Review)은 환자의 의약품 처방·구입 정보를 한 곳에 저장해 부적절한 약물 사용을 사전에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약사가 환자의 동의하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환자의 과거 모든 의약품 처방·구입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약사는 약물 병용금기, 연령금기 여부 등을 환자에게 안내해 주는 식이다.약사의 복약지도를 강화하는 측면이 있어 약사회 측이 제도도입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처방약에 대한 DUR은 현재 전국 실시 중이며 1일부터 감기약 등 약국판매약까지 확대할 계획이었다.신범수 기자 answer@박혜정 기자 park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신범수 기자 answer@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