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7조 일본계 자금 급작스런 회수 ‘없을 터’”

연기금·펀드·기업과의 전략적 투자 등 장기성 자금성격 ‘대부분’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일본 지진이후 14일 증시가 열린 이후 일본계 자금의 쓰나미(갑작스런 유출) 현상은 없었습니다. 특히 전체 외국인투자 규모 대비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일부 유출돼도 국내 시장에 충격은 미비할 겁으로 보입니다.”일본이 대지진 이후 전 세계에 투자자금 회수 여부과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에도 미칠 파장에 대해 정부도 예의 주시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큰 파장은 없다는 게 금융당국 관계자의 판단이다. 최윤곤 금융감독원 증권시장팀장은 15일 “2월말 기준으로 일본의 한국주식 보유액은 6조6078억원으로 외국인 전체 투자금액의 1.8%를 차지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큰 유출입은 없다”고 밝혔다.일본이 우리나라 채권시장에 투자된 돈은 7082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채권 보유규모인 74조1923억원 중 1%에 해당하는 규모다. 일본계 주식투자자금과 채권 투자자금을 모두 합쳐도 7조35000억원 수준으로 전체 외국인 투자규모 대비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에 당장 자금이 빠져나가도 증시나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금감원측은 일본계 자금이 ‘쓰나미’처럼 급격한 자금 유출입 현상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계 주식자금은 대부분 연기금, 펀드, 기업간의 전략적 지분 투자 등 장기성 자금 성격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본지진 여파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오히려 일본 자금에 국한되기 보다는 이번 일본 대지진 여파로 아시아에 투자해 온 외국인의 투자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일본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되고 한국시장의 북핵리스크 등 아시아 시장 전반에 대한 위험이 재 인식되면서 투자기피현상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일본에 투자된 자금이 한국, 중국 등 타 아시아국가로 몰릴 것이란 상충된 의견도 나오고 있다.한편, 증시전문가들은 새로운 변수로 떠오른 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글로벌 금융시장 내 불활실성이 가중된 상황에 대해 오히려 적잖은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또한 일본 중앙은행이 재해복구를 위해 당초 7조엔의 긴급자금을 15조엔으로 늘리면서 환율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일본이 피해 복구를 위해 이처럼 재정을 확대할 경우 국내 금융시장과 경제계가 우려했던 엔저(엔·달러 상승)현상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은 국회 기획재정위에서 대지진의 영향과 관련, "일본 경제의 피해 정도에 따라 우리 경제에 부담요인이 될 수 있으나 피해가 단기적이고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며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이 제한적이면 국내 경기에의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진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쓰촨성 대지진, 카트리나 태풍 등 과거 유사한 재난 발생이 우리경제 더나아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이고 일시적이었다”며 “다만 지진이후 후쿠시마 원전 폭발 이후 방사능 유출 등이 감지되고 있어 추가적인 피해상황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따져봐야한다”고 말했다. 이규성 기자 bobo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이규성 기자 bobo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