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정부의 ‘초과이익공유제’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선 것은 그동안 삼성을 비롯, 재계가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에 적극 협조해 왔음에도 자본주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정책들이 잇따라 나온 데에 대해 ‘재계 어른’으로서 따끔한 일침을 놓을 것이라는 분석이다.더욱이 이 회장이 지난 1995년 ‘정치 4류론’으로 정부의 심기를 건드린 후에는 극도로 정부정책에 대한 발언을 자제해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초과이익공유제’ 비난은 작심한 것이라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10일 이 회장은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단회의에 참석하면서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화두로 제시해 경제계 뿐 아니라 정·관계에서도 논란의 핵심이 되고 있는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그런 용어를 배우지도 들어보지도 못했다며 그 의미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을 피력했다.특히 그는 그동안의 설화(舌禍)로 곤욕을 치른바 있음에도 “초과이익공유제가 사회주의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인지 자본주의 용어인지도 모르겠다”고 직격탄을 날렸다.이 회장은 지난 1995년 베이징에서 "정치는 4류, 관료와 행정은 3류, 기업은 2류"라고 말해, 김영삼 정부를 발칵 뒤집어놓은 후에는 정부정책에 대해 직접적인 평가를 한 적이 없다.그러나 이번에 이 회장이 발언 리스크를 무릎쓰고 비판에 나선 것은 국내 최대그룹 수장으로서 4년여만에 전경련 회의에 참석하면서 상당한 책임감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그동안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가장 근본적인 지적은 기업 이익이 주주 몫인데 그것을 다른 생산주체와 나눌 의무가 없다는 것이다. 이미 생산에 참여한 주체들은 임금, 납품대금 등으로 보상을 받기 때문이다.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 불공평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최근 기업들이 동반성장 노력을 통해 자체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회장의 불만이 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삼성그룹만 하더라도 작년 8월 사급제도와 1조원 규모 협력사 지원펀드를 골자로 하는 ‘상생경영 7대 실천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이후 삼성전자 등 계열사들은 협력사 대표들과 정기적으로 간담회를 갖고 삼성전자 CEO들은 월별로 협력사 현장을 방문해 애로점을 해소하고 있다. 특히 이 회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은 30년전부터 동반성장을 주창해 왔다”고 밝혔고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은 동반성장의 더딘 전개 속도에 대해 질타를 받았을 정도다. 이 같은 재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포퓰리즘 정책을 펴고 나가는 것에 대해 이 회장이 그동안 상당히 답답해 했을 것이라고 재계는 평하고 있다.한편 삼성 관계자는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반대입장은 삼성 뿐 아니라 재계의 의견으로 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박성호 기자 vicman1203@<ⓒ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성호 기자 vicman1203@ⓒ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