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한국 속 성공 外投기업]소비자 못껴안은 ‘애정결핍’이 화 불렀다

‘해외 覇者’ 외국계 기업, 한국서 왜 敗者 됐나?

‘시장의 반란’ 부른 자만… 노키아·델·모토로라 등 줄줄이 침몰
대한민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 중에는 유독 IT·전자 업종이 많다. 하지만 실패 사례가 많은 것도 IT·전자 업종에서 찾아볼 수 있다.세계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 1위 노키아와 모토로라, 델, HP, JVC 등 세계 최상위급 판매 성적을 거두며 승승장구하던 업체들은 한국 시장에 호기 좋게 진출했다. 이들은 해외에서 성공한 앞선 기술과 마케팅 전략을 앞세워 한국 시장을 공략했다. 하지만 그들은 본전도 채 건지지 못하고 처참한 실패를 맛봤다.세계 챔피언 기업의 한국 진출 실패 사례 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노키아다. 노키아는 1990년대 중반 한국 휴대전화 시장에 진출했다. 당시 노키아는 한국에서 가장 많이 통용되던 휴대전화 기종인 CDMA 기종 제품을 출시했다.하지만 당시 노키아의 마케팅 전략은 한국 소비자들에게 ‘노키아’라는 브랜드를 알리기 부족했다. 기존에 노키아가 기득권을 갖고 있던 지역에서 쓰던 방식을 한국에서도 그대로 쓴 탓이다. 브랜드의 인지도가 부족하니 판매 실적도 당연히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결국 노키아는 CDMA 제품 출시를 포기하고 자연스럽게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그 후 한국에서의 노키아 제품은 한동안 모습을 감췄다. 스마트폰이 보급된 2009년부터 다시 노키아 제품이 한국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노키아를 향한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모토로라는 그나마 CDMA2000 도입 이후 한국 시장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뒀다고 할 수 있지만, 해외에서 보여준 폭발적 인기에는 많이 부족했다. 투박한 디자인과 어려운 사용법 때문에 소비자들의 눈길에서 멀어졌다.세계 최대의 컴퓨터, 노트북 업체인 델(DELL) 역시 손꼽히는 한국 진출 실패 사례 중 하나다. 물론 한국의 컴퓨터 제조 및 판매 기술에 델이 당해 낼 기술이 없었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델은 애초부터 한국 시장 공략에 대한 노력이 없었다. 실제로 델은 한국 시장을 중국 대륙 진출을 위한 일시적 교두보로 선택했고, 한국 내 매출에도 큰 신경을 쓰지 않았다.이들의 실패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현지화 전략’의 부재다. 현지화 전략의 부재는 과거 해외에서 그들이 성공했던 방식을 현지에서도 그대로 재활용했다가 실패했다는 말과 맥이 통한다. 한국 시장을 얕보고 자만하다 큰 코 다친 셈이다.노키아 스마트폰의 사례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애플 iOS나 구글 안드로이드 등 다른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는 한국 소비자들이 이용하기 편하게 한국어를 지원했다. 하지만 노키아의 OS인 ‘심비안’은 영어로 되어 있었고, 사용법 역시 초보자들이 접근하기 쉽지 않았다.디자인에 있어서도 한국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지 못했다. 이미 외국 시장에서는 깔끔한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다고 하지만, 변화가 빠른 한국 시장의 시각에서 이미 한물 간 외관으로 밖에 보이지 않았다. 결국 한국 소비자들의 관심은 다른 스마트폰에 몰렸고, 노키아는 또 다시 한국 시장에서 쓴맛을 봐야 했다.국내 외투기업의 성공 사례 주인공인 방일석 올림푸스한국 사장은 “외투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지화 전략”이라면서 “브랜드를 내세워 판매 전략에만 취중하기보다 해당 시장의 소비자들과의 감성 소통을 통한 격차 줄이기에 신경을 써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코노믹 리뷰 정백현 기자 jjeom2@<ⓒ 이코노믹 리뷰(er.asiae.co.kr) - 리더를 위한 고품격 시사경제주간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간국 정백현 기자 jjeom2@ⓒ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