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해설시리즈27] 방통위, 차세대인터넷(IPv6)전환 추진 계획[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 다양한 인터넷서비스 출현으로 인해 인터넷기반 네트워크 주소인 IP(Internet Protocol)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4 : 現 인터넷 IP 주소로 약 43억개) 주소의 보유분이 고갈돼 2011년 상반기에는 신규할당 중지가 예측되고 있는 실상이다.이에 따라 국제인터넷주소기구(ICANN), 인터넷표준화기구(IETF) 등을 비롯한 인터넷 주소 관련 국제기구들이 IPv4 사용을 극대화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책적·기술적 대안을 연구해왔으며 이의 결과로 1999년에 차세대인터넷주소인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IP주소 (2128개))라는 새로운 주소체계를 개발해 주소 부족의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홍진배 방송통신위원회 인터넷정책과장은 최근 한국개발연구원 나라경제 기고를 통해 "우리나라도 이에 대비하기 위해 2000년 초부터 IPv6 관련 기술개발, 표준화, 시범사업 등 기술검증과 연구개발 등을 통해 IPv6 도입 관련 정책 및 준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가고 있다"며 "국내 상용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의 백본망에 대한 IPv6 적용이 가능한 준비가 70%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밝혔다.홍 과장에 따르면 2009년에는 KT 등 ISP의 가입자망까지 IPv6 체계의 인터넷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시범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2010년에는 이동통신망에 대해서도 IPv6 체계의 시험이 가능한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앞으로는 가입자망 및 응용 서비스단 등에서의 IPv6로의 전환 준비는 지속적인 관심과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이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차세대인터넷주소(IPv6)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실행계획'인 '차세대인터넷(IPv6)전환 추진계획'(2010년 9월15일)을 발표했다. IPv6 전환은 스마트그리드, 스마트빌딩, 사물지능통신 등 새로운 네트워크 융합서비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미래 스마트인터넷 응용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차세대 인터넷서비스 기반 구축'이라는 비전하에 IPv6 상용서비스 지원기반 구축, IPv6 전환인식제고와 취약계층 지원, IPv6 추진체계와 점검강화 등 3대 과제를 정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먼저 그 동안 시범사업으로 구축된 IPv6 기반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2010년에는 IPv6 기반의 상용 웹서비스(DNS, 메일), IPTV 서비스, 3G이동통신망 서비스 등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곧 바로 상용서비스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요확대로 장비시장 활성화 등 선순환구조를 확립할 계획이다.IPv6 전환은 네트워크 용도, 인터넷서비스 중요도, 운영환경 등을 고려해 안정성이 요구되는 일부 주요 정보통신망 등은 IPv4를 우선 적용, 서비스 안정성과 연속성을 유지하고 스마트모바일, LTE(Long Term Evolution) 등 인터넷주소 수요가 많은 서비스나 신규로 구축되는 차세대이동통신망 등은 처음부터 IPv6 체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유도하는 등 인터넷주소의 우선할당 순위를 수립해 단계적 IPv6 전환 추진으로 초기 혼란을 방지해나갈 계획이다.IPv6 전환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의 모든 이해관계자(ISP, 서비스제공자, 이용기관 등)가 IPv4 주소의 신규할당 중지 시점을 인식하고 사전 대응책 마련을 위해 정부는 국내 IPv4 주소 할당종료 시점을 2011년 6월로 선포(Flag Month)할 예정이다. ISP, 서비스제공자, 이용기관, 이용자 등 각 분야별로 적합한 IPv6 전환 시나리오를 마련, 홍보하고 IPv6 전환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IPv6 적용에 대한 혼란을 최소화 할 방침이다.IPv6 전환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중소ISP, 콘텐츠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기술 컨설팅, 이용자 보호를 지원하는 'IPv6전환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해 IPv6 전환지원체계를 강화한다. 또 IPv6 전환을 위한 기술인력 확보를 위해 수요자 수준에 맞는 맞춤형 기술교육을 실시해 2013년까지 약 24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IPv6 전환은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ISP나 포털, 인터넷이용기업 등 민간사업자들과 공공부문에서 자율적인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함으로 정부는 IPv6 전환 촉진을 위해 달성 가능한 목표를 정해 지속적으로 추진실적 점검을 강화하고 'IPv6전환추진협의회'를 정부·ISP 중심에서 포털·장비제조사·CATV사업자·보안업체 등 각 분야별 책임자급으로 확대 개편해 IPv6 전환촉진, 홍보 및 이행점검을 더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다. 정부는 '차세대 인터넷주소(IPv6) 전환계획'의 착실한 추진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차세대 인터넷주소(IPv6) 기반의 사물지능통신 서비스, 모바일기반 새로운 인터넷서비스 사업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인터넷주소 부족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미래인터넷서비스 기반을 구축할 것이다.또 IPv6 기술개발·장비보급·망구축·단말·콘텐츠 및 서비스로 이어지는 ICT 선순환체계 기반을 구축해 미래 Smart 인터넷서비스 기반 조성 및 장비시장 선점을 통한 글로벌 인터넷시장의 선점과, IPv6 기반의 뉴스, 날씨정보, 소셜 네트워킹 등 생활 밀착형 융합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이로써 이용자 중심의 진화된 사회·문화서비스 욕구 충족이 가능한 미래인터넷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황상욱 기자 ooc@<ⓒ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황상욱 기자 ooc@ⓒ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