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통신 장비-단말기 매출 363조원, 고용창출 24만명 목표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정부가 4세대(4G) 통신 기술 시장 선점을 위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통신 칩셋 등 핵심 부품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오는 2015년까지 모바일 최강국을 목표로 범 부처간 협력이 본격화 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는 26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차세대 모바일 주도권 확보 전략을 보고하고 핵심 기술 역량 확보와 생태계 조성을 통한 2015년 모바일 세계 최강국 실현 방안을 발표했다. 방통위와 지경부는 6대 추진과제로 ▲4G 장비 부품 등 모바일 핵심 기술 개발 ▲글로벌 모바일 클러스터 구축 ▲4G 이후 통신환경 대비 연구개발 추진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구축 ▲4G 기반 서비스 기반 조성 ▲개방형 모바일 생태계 조성 등을 발표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3세대(3G) 통신 서비스는 최대 14.4메가비피에스(Mbps)의 데이터전송속도를 갖고 있어 HD급 방송(20Mbps)나 3D 영상(40Mbps) 등의 대용량 서비스는 제공할 수 없다. ETRI가 개발중인 4세대(4G) 롱텀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dvanced) 기술은 최대 600Mbps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때문에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유선환경처럼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술은 오는 2015년 이후 상용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해외 업체가 선점하고 있는 통신 장비와 통신 칩셋 등 단말기 핵심 부품의 연구개발(R&D) 지원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R&D 과정에 중소 부품업체의 참여를 확대해 차세대 모바일 시대에 중소 모바일 기업 경쟁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구글, 애플이 장악하고 있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시장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미래 진화 방향으로 예상되는 웹(Web), 가상화 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한다. 웹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바일 기기에서도 가상화 기술을 통해 설치된 운영체제(OS)와 상관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모바일 관련 기업 및 생산시설이 밀집된 지역에는 글로벌 모바일 클러스터가 구축된다. 4G 장비 및 단말기 테스트 설비를 구축해 기업의 테스트 비용을 연간 500억원 이상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모바일 분야 석·박사급 고급인력 양성과 함께 서비스 전문가들을 올해 1700여명을 배출해 4G 대비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4G 이후 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 차원의 R&D도 밑그림이 그려졌다. 오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8년간 원천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선도해 기가급 통신환경(4G 기술보다 약 2배 빠른 기술)의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방통위와 지경부는 범부처가 통합 R&D로 추진하는 '기가 코리아 전략'을 올해 상반기에 수립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4G 시대를 본격 대비하기 위해 주파수 확보 계획도 상반기 수립하기로 했다. 이미 미국과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은 4G 통신을 위한 주파수 확보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이 외 모바일 소프트웨어 및 앱 경진대회 등을 통해 아이디어의 상용화를 지원하고 핵심 기술 개발, 공공부분 도입촉진, 법제도 개선 등 범부처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 방안'도 올해 상반기 마련된다. 개방형 모바일 생태계 조성을 위해 통신사업자, 제조업체, 서비스 사업자 등이 참여하는 협의회도 운영된다. 범부처가 공동으로 협의회를 운영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한편 정부는 이번 차세대 모바일 주도권 확보 전략을 통해 4G 서비스가 상용화되는 2015년에서 2021년까지 장비(통신장비 및 단말기) 매출액 363조원, 24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명진규 기자 aeo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IT부 명진규 기자 aeo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