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폴란드 대통령 앞에서 고개숙인 사연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교육개혁은 국민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폴란드와 러시아 사례를 언급하며, 교육과 과학 육성의 중요성을 역설했다.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에 참석해 "내가 (레흐 카친스키 전) 폴란드 대통령을 만났을 때 노벨상 받은 것을 이야기하다가 깜짝 놀랐다"면서 "(폴란드가) 대단한 나라더라. 고개가 숙여지고 존경스러웠다"고 밝혔다.이 대통령은 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에 가서 명예박사를 받는데 이명박 강의가 생겼다고 하더라"고 소개한 뒤 "그 대학 출신이 노벨상을 16명이나 받았더라"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노벨상을 받은) 16명뿐 아니라 세계적인, 누구라고 하면 알 수 있는 유명한 사람들도 수십명이었다"면서 "우리도 지금 잘 하지만 더 분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세계에 우리 교육을 많이 선전해줬다"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대한민국은 어떻게 원조를 받다가 원조를 주는 나라가 됐냐고 묻길래 '교육'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이 대통령은 이어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의 교육 가운데) 뭐가 장점이냐고 묻더라"면서 "내가 교육열이라고 말했다. 학부모와 선생님의 교육열이 오늘날 우리나라를 만들었다"고 했다.이 대통령은 "아무리 가난한 가정도 교육이 최우선이다. 먹고 마시는 것보다 앞서간다"면서 "(이같은) 교육열이 학부모들에게 있다. 그 열성이 나라를 바꾸었다. 칭찬받는 것은 좋은데 그것에 걸맞는 교육개혁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이 대통령은 "세계가 대한민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올라갔다. 국격에 맞춰 모든 것이 바뀌어야 한다. 바로 교육과 과학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면서 "교육이 제대로 돼야 국가가 새로운 단계로 높이 갈 수 있다. 교육과 과학이 제대로 되면 우리나라 걱정이 없지 않나"라고 반문했다.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국민들에게 정책 중 가장 만족스럽지 않은 것이 뭐냐고 하니까 교육이라고 답한다. 학부모들은 준비하고 있는데 미래를 위해 바꾼다고 하니까 불안해한다"고 지적했다.이 대통령은 입학사정관제를 사례로 들며 "(입학사정관이) 아는 사람을 다 넣는다고 생각한다. 많은 것을 계획하다 보니 하나도 마음에 드는 것이 없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 대통령은 "시간이 걸린다. 교육개혁은 일시에 다 고치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국민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민들이 '아, 이렇게 하려고 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고 주문했다. 조영주 기자 yjch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