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서울시가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의 구원투수로 부각되고 있다. 서울시가 용산역세권 사업의 공공개발 검토 가능성을 밝힌데 이어 코레일이 서울시의 역할을 강조하고 나선 탓이다. 코레일은 19일 용산역세권 사업과 관련해 시공참여자인 삼성물산이 사업에 빠질 것과 함께 서울시가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김흥성 코레일 대변인은 "우리 입장은 삼성물산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던가 아니면 아예 이 사업권을 반납하라는 것"이라며 "또 다른 출자사에서도 사업정상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하고 서울시도 이번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레일이 서울시의 역할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서울시 산하의 SH공사가 지분 4.9%를 보유한 주주인 데다 서울시가 서부이촌동의 토지소유자이기 때문이다. 송득범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코레일의 이같은 요청에 대해 "사업 참여자간 원만하게 협의하길 바라고 있다"면서도 "만약 사업협약이 파기된다면 코레일과 협의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용산역세권 사업 협약이 파기될 경우를 대비해 서울시가 공공개발 등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서울시는 이에 앞서 지난 10일 서울시 의회 업무보고에서도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공공개발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을 공공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SH공사나 LH 코레일 등 공공기관이 사업을 전담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 현행 도시개발법상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경우 민간업체들이 배제되더라도 지자체와 정부, SH공사와 LH 등이 사업시행자로 나설 수 있다. 사업방식은 단지 조성을 해서 필지 별로 분양을 해서 투자유치한 상암지구 개발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계는 서울시의 공공개발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내놓고 있다. 서울시와 SH공사가 2014년까지 부채를 줄이겠다며 마곡 워터프론트 등 대규모 사업을 백지화하거나 축소하는 상황에 31조원 상당의 용산역세권 사업을 추진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는 지적이 많다. 당장 16조원 부채가 있는 SH공사가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을 인수하기 위한 8조원의 토지대금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은 상태다.건설업계 관계자는 "서울시가 부채를 줄이겠다고 선언한 상태서 용산역세권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또 다른 어려움에 부닥친 PF 사업장과의 형평성 논란이 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이은정 기자 mybang2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은정 기자 mybang2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