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KT의 LTE 전략 오판' 발언에 SKT '발끈'

KT-유선, SKT-무선 강점, 중장기 전략으로 전이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표현명 KT 사장이 공식 기자간담회에서 SK텔레콤의 LTE 조기 도입 전략이 잘못된 시장 상황 판단에 기인했다고 언급하자 SKT가 이를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SKT 역시 최근 정만원 사장의 기자간담회에서 KT의 와이파이(무선랜) 전략을 비판하며 1만개면 충분하다고 발언한 바 있어 스마트폰 시장을 놓고 양사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27일 표현명 KT 개인고객부문 사장은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스마트폰으로 인한 데이터트래픽을 무선네트워크로만 감당하려 하는 것은 무리"라며 "경쟁사의 LTE 조기 도입 전략은 시장 상황을 잘못 이해한 오판"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SKT는 KT가 3G 데이터트래픽을 감당할 수 없어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반박했다. KT가 보유한 2.1기가헤르쯔(㎓) 대역 주파수가 한계에 이르러 더이상 추가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어 SKT의 LTE 전략을 비판하고 나섰다는 것. SKT는 현재 올해 상반기에 3G 주파수를 추가로 할당받아 데이터트래픽을 늘릴 수 있지만 KT는 그런 상황이 못된다는 설명이다. 특히 표 사장이 가입자들의 네트워크별 데이터 사용 행태를 측정한 결과 3G 데이터 접속율이 10%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사용자가 와이파이와 와이브로를 이용해 무선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힌 점에 대해 SKT는 "3G 데이터 경쟁력이 없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SKT는 자사 가입자의 60%가 3G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와이파이와 와이브로는 4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표 사장이 "경쟁사의 무제한데이터 요금제는 주문형음악(MOD), 주문형비디오(VOD)을 마음껏 사용할 수 없어 사실상 무제한데이터 요금제가 아니다"라고 언급한 부분과 관련해서 SKT는 "KT가 자랑하는 와이파이존에서도 접속자가 급증하면 MOD와 VOD 서비스가 느려지는데 그렇다면 제대로 사용할 수도 없는 공짜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렇게 무선데이터 시장을 놓고 KT와 SKT는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KT는 와이파이를 해답으로 내세우고 SKT는 무선데이터통신을 통신전략의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바로 갖고 있는 경쟁력의 차이다. KT는 전국에 걸친 유선 초고속인터넷망을 보유하고 있다. 와이파이는 초고속인터넷망의 말단에 액세스포인트(AP)를 설치해 유선망을 무선망으로 바꾸는 것으로 이동시 연결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빠른 속도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반면 SKT의 설명대로 KT가 보유한 3G 주파수 대역은 이미 포화상태다. 올해초 KT는 추가 주파수 할당을 통해 900메가헤르쯔(㎒) 대역을 확보했지만 이 주파수 대역은 향후 4세대(4G) 통신서비스인 LTE에 사용할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2G 가입자의 3G 전환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경우 주파수 빈곤현상은 더욱 심해진다. 결국 3G 무선데이터 대역폭 확보가 어렵다는 얘기다. KT와 KTF 분리시절 갖고 있던 공중 무선랜 서비스 '네스팟'을 이용해 와이파이존을 대거 확보한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KT는 내년까지 와이파이존을 10만개소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유선 시장의 지배력을 무선데이터 시장으로 옮기겠다는 것. SKT는 반대로 유선 초고속통신 인프라가 경쟁사 대비 부족하다. 때문에 현재 구축하고 있는 와이파이존도 LG U+ 등에서 초고속통신 망을 빌려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와이파이존이 늘어날수록 망 임대 비용이 늘어나 사실상 와이파이를 중심으로 한 전략은 아예 구사할 수 없었던 상황이다. 반면 주파수 면에서는 경쟁사 대비 크게 유리한 상황이다. 경쟁사가 주파수 대역이 모자라 고민하고 있는 반면 SKT는 3G 위주의 무선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SKT는 추가로 할당받은 2.1㎓ 주파수를 3G 대역폭 확대를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 LTE 서비스는 2G 가입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800㎒ 대역 주파수중 남는 대역을 이용해 시작할 계획이다. 명진규 기자 aeo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명진규 기자 aeo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