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지방선거 참패' 정면돌파하나?

인적쇄신 7.28재보선 이후에..세종시·4대강 분리대응 가능성 높아져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6.2 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후폭풍을 정면돌파할 기세다.야당은 물론 여당내에서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개각과 청와대 인적쇄신을 7.28 재보궐선거 이후로 늦출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세종시 수정안과 4대강사업도 큰 틀의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청와대 핵심관계자는 6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나라당 전당대회와 재보선 등 여러 정치 일정상 청와대 참모진에 대한 인사와 조직개편은 7.28 재보선 이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며 "내각(개편)은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인사폭도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지난 1·4분기 경제성장률이 8.1%로 7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천안함과 관련한 안보 문제도 초동대응에는 다소 문제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냉정하고 절제되게 대처를 해왔다"며 "그때 가봐야 알겠지만 인사도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이는 인사를 즉흥적으로 않고, 오랜 검증과 심사숙고를 거쳐 결정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 패배를 정면돌파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이 대통령이 최근 "올해와 내년은 (보궐선거를 제외하면) 사실상 선거가 없는 해로 오히려 국정운영에 효과적으로 임할 수 있는 기간"이라고 참모진과 장·차관에게 수차례 강조한 것도 집권후반기 레임덕에 빠지지 않고 남은 임기동안 현 정부의 국정과제를 충실히 매듭짓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청와대는 지방선거 이후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선 세종시 문제와 4대강 사업도 큰 틀의 변화없이 그대로 추진할 뜻을 내비췄다.이 관계자는 "4대강 사업이나 세종시 문제는 당은 당대로, 내각은 내각대로, 청와대는 청와대대로 리뷰(재검토)를 하고 있다"며 "여러 요인을 검토하고 있지만 정부가 한번 입장을 정하면 그대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세종시와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속도조절과 부분적인 수정은 가능하지만 큰 방향은 바꾸지 않겠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이명박 정부의 최대 국정과제인 세종시와 4대강 사업에 대한 원칙론을 강조했다는 풀이도 나올 수 있다.청와대가 선거가 몇일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이같은 원칙론을 강조한 것은 야권은 물론 여권 내에서도 지방선거 패배를 청와대로 돌리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이 관계자는 이를 염두에 둔 듯 "2006년 (지방선거에서) 노무현 정부는 지금보다 더 참패했지만 '선거는 당이 치르는 것'이라고 하지 않았느냐"며 이번 선거 패배의 원인을 청와대로 돌리려는 움직임을 차단했다.하지만 여당 초선의원들이 6일 긴급회동을 갖고 '청와대 책임론'을 거론하며 인적쇄신을 요구하면서 당·청간의 갈등이 표면화 될 전망이다. 정태근 의원은 "민심 이반의 가장 큰 잘못은 청와대 참모들에게 있다고 본다"며 "청와대와 정면으로 부딪치는 한이 있더라도 당 정국을 제대로 이끌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야당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염홍철(대전), 안희정(충남), 이시종(충북) 등 충청지역 3개 시도지사 당선자들은 오는 8일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고 원안 관철을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기로 했다. 4대강 사업에서도 야권 당선자들의 연대 움직임이 가시화 될 수 있다.이에 따라 청와대가 향후 추이를 봐가면서 세종시와 4대강 사업을 분리해 양자택일할 가능성을 점치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려면 여당내에서 당론으로 확정짓고 당·정·청이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하는데, 이미 추진 동력이 크게 약해진 상황이다. 더욱이 선거에서 충청지역 광역단체장을 모두 야당에 넘겨줘 현지 여론을 설득하는 것도 쉽지 않게 됐다.반면 4대강 사업은 야당내에서도 호남권 등 일부지역에서는 찬성하고 있고, 세종시를 포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이 대통령은 하반기 국정운영 키워드를 중도실용과 경제살리기에 맞췄다. 이를 위해 조만간 직접 현장을 찾는 등 서민·취약계층을 위한 행보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 조영주 기자 yjch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