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소민호 기자] 가끔씩 방문하는 동네 도서관은 지역내 지식창고로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한다. 딸 아이를 데리고 가는 도서관은 나즈막한 산자락에 붙어있어 산책을 시작하는 장소로도 안성마춤이다.이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몰려온다. 인기가 많다보니 휴일이어도 아침 10시를 넘어서면 자리 잡기가 만만찮다. 전문지식을 쌓기 위해 공부에 열심인 학생층을 비롯해 교양을 함양하려는 주부들도 적지않다. 어린이들은 청소년 문고에서 바닥에 편하게 주저앉아 그들만의 세상을 누빈다.영화관에 몰려드는 인파가 많다고 느껴질 때가 있지만 도서관을 갈때마다 지식을 함양하려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깨닫곤 한다. 주위를 둘러보면 주변엔 도서관이 적지않다. 초등학교 도서관 또한 많이 개방돼 있다. 그러고 보면 대학 도서관도 지역주민에 개방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한다. 책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이전보다 훨씬 확대돼 있는 것이다.행정안전부의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을 살펴보니 공공도서관 300개를 확충한다는 정책이 발표돼 있다. 2008년부터 5년간의 추진계획인데 이렇게 공공도서관을 늘리면 2007년보다 48% 늘어난 900개의 공공도서관이 마련되는 것이라고 한다. 1개 도서관당 국민수는 2007년보다 38% 감소한 5만명으로 바뀌어 OECD국가 수준으로 개선된다고 한다.주거형태의 절반이 넘는 아파트단지에도 도서관이 설치된다. 현행 주택건설기준을 보면 300가구 이상 아파트단지에는 도서관을 설치하도록 규정돼 있다. 33㎡ 이상의 면적에 6석 이상의 열람석을 확보하도록 하고 850만원 이상을 들여 1000권 이상의 서적을 구비하도록 구체적으로 명시했다.그런데 이런 기준이 일률적으로 적용되다보니 어떤 아파트에서는 도서관 이용이 극히 적어 먼지만 쌓여있기도 한다. 사실 서울시내 등 가까운 곳에 훌륭한 도서관이 있는 경우라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아파트 도서관은 제기능을 하기 어렵다.건설업체들도 안타까워한다. 주민들이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이 들어서면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을텐데 규정을 지키기 위해 실제 활용이 거의 없는 문고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 도서관 설치의무를 면제해주는 것처럼 탄력적인 제도운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1~2인 가구를 수용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공동주택처럼 부대시설을 갖추게 하면 분양가가 높아질 수 있고 활용도가 낮을 수 있어 문고설치 의무가 없다.대신 부대시설 면적은 충분히 확보하도록 해서 입주민이 필요한 시설을 설치할 수 있게 탄력성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다.용인 수지의 아파트에 사는 김모씨는 "공공도서관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아파트 문고가 훌륭한 역할을 한다"면서 "일정한 면적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확보하도록 하되 공간활용 운동시설이나 복지시설 등으로 입주자들이 결정할 수 있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대표적인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국민들의 행복지수를 높일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소민호 기자 sm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