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연설]새해에도 '경제 살리기'·'일자리 창출' 총력

李대통령 '하반기엔 경제회복 온기 체감할 수 있게.. '비상경제체제' 상반기 종료'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상반기엔 비상경제체제를 끝내고, 하반기엔 서민들도 경제 회복의 온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이명박 대통령은 경인년(庚寅年) 새해에도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경기회복에 대한 잇단 '청신호'에도 불구하고 고용 시장을 중심으로 한 서민들의 체감경기는 좀처럼 나아지고 있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4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2010년 정부의 첫 번째 국정과제는 누가 뭐라 해도 경제를 살리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핵심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더 많은 일자리,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올해 정부는 '일자리 정부'로 자리매김하겠다"며 "'고용 없는 성장'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정부와 기업, 국민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기획재정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20만명의 취업자 수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나, 대표적인 고용 비수기인 1~2월엔 '희망근로 프로젝트' 등 정부 지원 일자리가 잠정 중단되는데다, 민간 부문의 채용마저 거의 없어 지난해에 버금가는 '고용 한파'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매월 이 대통령 주재의 '국가고용전략회의'를 개최하는 등 "경기회복이 일자리 창출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고용 분야 정책 발굴과 점검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제1차 '국가고용전략회의'는 오는 7일 열린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실직자 또는 취업 준비자들의 구직난과 중소기업 등의 구인난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점을 들어 "노동력 수요ㆍ공급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통합정보망을 구축하고 직업훈련체제를 혁신하겠다"고도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임금 피크의 확산과 ▲재택근무, 1인 기업, 사회적 기업, 유급 근로와 자원 봉사의 결합 등 새로운 일자리 형태의 발굴을 통해 "주부와 노인들도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길을 넓히고, 일자리가 경제 뿐만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수단이 되게 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밖에 이 대통령은 지역 경제발전을 위해 "올해 '5+2 광역발전 모델'의 가시적 성과를 이뤄 지방에서도 경제회복이 피부로 느껴지도록 하겠다"면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지역 일자리 및 소득창출의 획기적 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관련, "세계가 균형 있게 발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