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철도노조가 노조원들에게 현장 복귀 글을 남기면서 '3차 파업 준비'하자고 했지만 이번 조건부 파업철회 결정은 사실상 정부의 강경대응과 여론 악화에 백기를 든 것으로 풀이된다. 가장 큰 이유는 파업이후 노조원의 이탈이다.지난달 28일 이명박 대통령이 '공기업 노조 파업에 적당한 타협을 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힌데 이어 지난 1일에는 파업 주동자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 철도노조 사무실 압수수색 등 정부는 노조를 전방위 압박했다. 5개 정부부처ㆍ청장들도 철도노조 파업은 불법이라며 업무복귀를 촉구했다. 3일에는 경제5단체가 철도노조 파업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을 내고 경제계에서도 철도파업이 경제회복세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기회복을 기대하는 여론도 철도파업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봤다. 철도파업에 따른 불편에 대해서도 시민들의 불만은 커졌다.상황이 이렇자 지난 1일 640여명이던 현장복귀 노조원이 3일 오후에는 1800명 이상으로 3배나 늘었다. 노조원들의 심적 동요로 파업동력에 심각한 타격을 받은 노조는 결국 조합원에게 현장 복귀 명령을 내렸다. 결국 코레일의 일방적인 단체협약 해지와 불성실교섭을 이유로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 지 8일 만에 파업을 중단했다.그렇다고 아직 불씨가 완전히 사그러든 건 아니다. 하지만 철도노조의 파업이 과거와 달리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파업동력을 많이 약해졌고 지도부의 운신의 폭도 좁아졌다.김민진 기자 asiakm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민진 기자 asiakm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