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더페이스샵 인수, 업계 판도 바뀌나?

[아시아경제 안혜신 기자]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이 화장품업계 3위 업체인 더 페이스샵을 인수함에 따라 향후 업계 판도 변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4일 LG생활건강은 더페이스샵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LG생활건강이 확보한 지분은 더페이스샵의 최대주주인 '쉐퍼드'의 지분 70.2%와 창업주인 정운호 회장의 지분 29.8% 중 19.8%를 합친 90%다. 최종 인수대금은 쉐퍼드 2785억원, 정운호 회장 715억원 등 총 3500억원이다. 이에 따라 이번 인수를 통해 화장품 업계 '만년 2위'에 머물던 LG생활건강이 선두인 아모레퍼시픽을 추격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더페이스샵의 지난해 매출은 2351억원으로 이번 인수를 통해 LG생활건강의 화장품 분야 매출은 약 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 된다. 업계 부동의 1위였던 아모레퍼시픽(1조2695억원)과의 매출 격차가 크게 줄어들게 된 것.특히 최근 화장품 업체들 이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브랜드숍 매장 수에 있어서는 오히려 아모레퍼시픽을 추월하게 된다.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숍인 아리따움이 현재 전국 1040개 매장이 영업 중이며 LG생활건강의 브랜드숍인 뷰티플렉스는 970개다. 여기에 더 페이스샵이 보유하고 있는 700여개의 매장이 더해지면 LG생활건강이 보유하게 되는 브랜드숍의 수는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움을 600여개 이상 앞지르게 된다.LG생활건강은 그동안 호시탐탐 더페이스샵 인수에 눈독을 들여왔다. 더페이스샵은 지난 2005년 10월 창업주 정운호 회장이 어피니티측에 지분 70%를 넘기면서부터 매각설이 흘러나왔다. 당시에도 LG생활건강은 인수에 관심 있는 기업으로 가장 먼저 물망에 올랐었다. 그러나 어피니티가 매각가격으로 4000억원선을 제시해 무산됐다.이번 LG생활건강의 더페이스샵 인수 추진에도 가장 부담이 되는 부분은 가격이었다. 시장에서는 인수 가격이 4000억원을 넘으면 다소 부담스럽다는 부정적인 의견을 내왔다. 이번 인수 가격은 4200억원이지만 더페이스샵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자산 700억원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지불 금액은 3500억원인만큼 긍정적이라는 평가다.시장점유율 면에서도 현재 15%를 차지하고 있는 LG생활건강은 이번 인수를 통해 20%초반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아모레퍼시픽은 현재 35%의 시장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매출과 시장점유율 등 다방면에서 업계 선두인 아모레퍼시픽을 바싹 추격할 수 있게 되는 것.실제 차석용 대표가 그동안 "생활용품과 화장품부문의 비중을 5:5로 맞추겠다"고 공공연히 밝혀온 만큼 이번 인수를 통해 화장품부문에 대한 공격적인 마케팅도 본격화 되리라는 전망이다.LG생건 관계자는 "인수 이후 브랜드 통합 등 운영 절차는 아직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며 "프랜차이즈 사업에 강한 더페이스샵의 기존 인력과 LG생활건강의 화장품 사업에 대한 역량이 접목돼 보다 큰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안혜신 기자 ahnhye8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팀 안혜신 기자 ahnhye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