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기회복을 위한 공조차원..기준금리조절은 각국 상황에 맞게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호주중앙은행(RBA)이 현지시간으로 6일 예상 밖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주요 20개국(G20)회의의 국제공조가 깨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이에 따라 다른 국가들로 금리인상이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이미 지난 8월 이스라엘이 선제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호주의 금리이상은 G20 가운데 처음이기 때문에 세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하지만 국제공조의 틀이 깨졌는 지 여부는 국제공조에 과연 각국별 금리인상 시기가 포함됐느냐에 달려있다.지금까지 청와대와 기획재정부는 명시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금리인상도 국제공조의 한 틀로 봐 온 것이 사실이다.그동안 이명박 대통령과 윤증현 기획재정부, 진동수 금융위원장 등은 모두 출구전략 시기상조론을 강조하면서 행간에서 금리인상도 국제공조의 한 틀에서 본다는 함의를 전달해 왔다.한국은행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이성태 한은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금리인상을 할 경우에라도 통화정책이 긴축적으로 돌아서는 것은 아니며 G20국제공조라는 것이 한날 금리를 동시에 올리자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또 “물가와 경기상황, 주변국의 경제상황을 당연히 살피며 금리조절을 하겠지만 다른 나라가 금리를 올리지 않았다고 필요한 상황에서 개별국가가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또 다른 한은 관계자 역시 사견임을 전제로 “국제공조가 깨졌다는 것은 글로벌 자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며 “반드시 금리를 한날 한시에 인상, 인하해야 하고 개별국가가 이를 먼저 실행에 나섰다고 해서 G20공조가 끝난 것 처럼 이해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채권전문가들은 “일단 G20에 속한 호주의 금리인상으로 한국의 경우 금리인상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할 수 있다”며 “연내 1차례 정도, 25bp수준에서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다만, 이 총재가 언급했듯이 각국 상황에 맞는 금리정책이 필요한 만큼 호주가 금리인상을 했다고 해서 우리나라도 반드시 이를 따라갈 필요는 없다는 지적이다.호주의 경우 원자재 부국으로서 물가상승압력이 높았다는 점에서 이번 금리인상을 미국이나 유럽 등 주요국과 동일선상에서 놓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한은 관계자는 “이 총재가 수차례 말했든 경기회복 강도 및 자산가격 상승세의 부작용을 고려해 금리결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