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판으로 써온 신라 문무왕릉비 조각 200년만에 재발견

문무대왕릉비편 상단부

[아시아경제신문 박소연 기자]조선시대에 발견됐다가 다시 실종됐던 신라 문무왕릉비의 조각이 200여년만에 다시 발견됐다.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지난 2일 경주시 동부동의 한 주택에서 신라 문무왕릉비의 상단부분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상단 부분은 주택의 수돗가에 박혀 있었으며 표면이 훼손되고 가장자리 등 일부는 심하게 마모됐지만 비문의 전체 내용을 읽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다고 박물관 측은 설명했다.조선시대 경주부윤을 지낸 홍양호(1724-1802)의 '이계집(耳溪集)'은 682년 경주 사천왕사에 세워졌던 문무왕릉비의 조각들을 정조 20년인 1796년에 발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조각들의 탁본은 청나라 금석학자 유희해(劉喜海.1793~1853)에게 전해져 그가 쓴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 내용이 실렸다.진정환 학예연구사는" 삼국을 통일한 왕인 문무왕의 비석이 1796년에 발견됐다가 다시 사라졌다는데 1961년에 하단부가 발견됐고 상단부는 알 수 없었는데 이번에 발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는 "'해동금석원'에서 제대로 밝히지 못한 일부 글자도 실제 조각과 비교하면 추가로 판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또 "통일신라의 왕릉비들이 수난을 당해 거의 남아있지 않거나 있어도 일부 조각조각으로 남아있음을 감안할 때 국사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대중문화부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