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정규직 과보호하면 일자리 창출 어렵다'

경제5단체 '비정규직 문제 해결 공동기자회견' 개최

2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된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경제5단체장 공동 기자회견'에 참석한 (왼쪽부터)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조석래 전경련 회장,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사공일 무역협회장, 이수영 한국경총 회장이 결의문을 밝히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5단체장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기자회견'을 개최, "정규직을 과보호하면 새 일자리를 만들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조석래 전경련 회장은 "다들 정규직에 대해서 너무 많이 이야기하는데, 이미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정규직을 과보호하면 새 일자리를 만들기 어렵다"면서 "이제부터 직업을 가져야 하는 사람들도 보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이어 "일자리라는 것은 기업이 있어야 생기는 것"이라면서 "일단 기업이 살아나고 부담능력이 생겨야 하는데 다들 기업은 잊어버리고 서로 안맞는 논쟁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어떻게 하면 일자리를 많이 만들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이 성장발전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단어 자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수영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단어 자체를 제한적으로 사용했으면 한다"면서 "나는 정규직이니까 상관없다는 식의 생각을 버리고 서로 양보해 중간지점에서 만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계는 또한 비정규직법 시행에 대해 최소한 2년 정도를 유예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각 정당마다 유예기간이 다르지만 경제계에서는 최소 2년은 유예해야 그 안에 합리적인 법안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사공일 한국무역협회회장은 "우리가 해야 할 것은 비정규직과 정규직 관련 법 규제가 적어도 국제 규범에 맞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사공 회장은 "외국기업이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나라에 진출한다면 이것도 일자리가 빠져 나가는 것"이라면서 "국경을 막아놓고 우리만 사는 시대가 아니다. 일자리의 세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