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만든 전세계적인 경제위기는 지금도 진행형이다.실업과 고환율, 수출부진 등 부정적인 뉴스가 여전히 절대적이다. 그나마 골프회원권을 비롯한 몇 가지 경제 지표들이 개선되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는 것이 다행이다. 이에대해 최악의 상황은 지났다는 경기회복론과 아직은 이르다는 경계론이 팽팽하게 대립되고 있다. 예전에도 위기상황이 거듭되면 언제나 낙관론과 비관론이 교차하는 시기를 거쳤다. 이미 국제외환위기(IMF)라는 거센 폭풍을 한 차례 겪었지만 새로운 위기에 대한 공포심은 언제나 과거의 그것을 능가하기 마련이다. 비관론자들은 우선 90년대 초반 일본 골프장들이 대규모 도산한 '버블붕괴론'을 들고 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게 많고, 속도 또한 빠르다'는 것이 요지다.여기에 경기침체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최근 주식시장이나 골프회원권시장의 상승세는 성급한 수요층에 만든 '거품'이라는 논리를 더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지방골프장의 미분양사태를 근거로 급증하는 골프장들을 산술적으로 계산해 회원권 가치의 중ㆍ장기적인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실제 GNP의 추이를 감안하면 골프장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할 부분이다. 문제는 이런 논리가 골프장이나 회원원 전문가들 보다는 골프계 밖의 비평가들이 주류를 이뤄 골프산업의 발전에 대한 조언 보다는 자칫 잘못하면 수급에 대한 막연한 우려로만 비춰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점이다.낙관론자들은 이에대해 골프회원권의 투자 가치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논리다. 골퍼들이 밀집한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주말부킹이 최악의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비추어 골프장의 수급은 근본적으로 전혀 달라지지 않았고, 경제 상황만 호전된다면 아직도 상승여력이 충분하다는 이야기다. 또 지속적인 골퍼의 급증이 앞으로도 골프산업발전의 근본적인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국내 골프산업의 성장은 이제 중반을 지난 수준이라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도 골프회원권 수요자인 최상위계층이 느끼는 경제환경은 이미 바닥권을 지났고, 이때문에 '공포를 사는 것이 최고의 투자'라는 논리로서 시장에 더 접근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최종적인 결정은 결국 거래당사자의 몫이다. 어떤 분야든 결국은 시장이 모든 트렌드를 만들기 때문이다. 연초부터 강한 상승세를 보인 골프회원권시장은 거래 주체들의 낙관적인 전망과 더불어 시장의 양호한 수급이 만들어낸 결과인 동시에 향후 시장의 방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여 준 것만큼은 분명하다. 에이스회원권거래소 전략기획실장 sky@acegolf.com<ⓒ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골프팀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