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해도 일자리는 안늘어

경제발전 속도와 관계없이 우리나라 수출의 고용 창출 능력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등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서비스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6년 산업연관표로 본 우리나라의 고용구조 및 노동연관효과'에 따르며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2005년 14.9명에서 2006년 14.2명으로 연평균 4.7% 감소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산업부문에서 10억원을 투자할 때 만들어지는 일자리 수로, 이 수치가 떨어지면 경제성장률이 높아져도 그 만큼 일자리가 생기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문별로 보면 수출 10억 원당 취업유발계수는 2005년 10.8에서 2006년 9.9명으로 연평균 8.3% 감소했다. 소비의 취업유발계수가 이 기간 17.8명에서 17.3명으로 연평균 2.8% 줄고, 투자의 취업유발계수는 13.6%에서 13.5%로 0.7% 감소해 수출의 취업유발계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산업별 추이를 보면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2005년 10.1명에서 2006년 9.6명으로 떨어져 전 산업 평균(14.3명)에 크게 못 미쳤다. 이 가운데 전기ㆍ전자기기가 8.3명에서 7.3명으로 하락 폭이 컸다. 서비스업은 18.4명에서 18.2명으로 하락했다. 반면 건설업은 16.6명에서 17.3명으로 상승했다. 2006년 취업자 수(연간 기준 인원)는 1806만4000 명으로 전년보다 46만2000명(2.6%)이 늘었다. 2006년 경제성장률이 5.2%인 점을 감안하면 고용이 경제성장 속도를따라잡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반면 건설업 취업유발계수는 상승했다. 2000년에서 2005년 사이에는 17에서 16.6으로 소폭 떨어졌지만, 2006년 17.3을 기록해 상승했다. 산업별로 취업자 증가 수를 보면 서비스업은 2006년 중 35만7000 명이 늘었고 건설업은 9만2000 명, 제조업은 3만9000 명이 각각 증가해 전체 증가 인원의 77.3%를 서비스업이 차지했다. 한은은 이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차세대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 디지털 솔루션 등을 내실있고 체계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또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해 핵심 부품을 국산화하고, 세제 및 금융지원 강화로 해외 소재, 부품 산업을 유치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