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 유동성 문제 해결..목표가↑<KTB證>

KTB투자증권은 19일 에 대해 유동성 문제 해결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목표주가를 5만6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도현우 애널리스트는 "최근 대림산업은 공격적인 유동성확보전략을 세웠고 또 이를 빠르게 실행에 옮기고 있다"며 "이에 주가를 산정할 때 반영시키는 유동성 우려에 대한 할인율을 감소시킨 것이 목표주가 상향의 근거"라고 설명했다.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노력에도 후한 점수를 줬다. 도 애널리스트는 "건설사 중 가장 먼저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미분양주택펀드(CR-REITs)에 매각하고 국민은행의 주도로 곧 출시될 민간 주도 CR-REITs에도 부산의 미분양아파트 57가구를 매각하기로 하는 등 향후 출시되는 미분양펀드에도 계속 참여를 한다는 계획"이라며 "CR-REITs는 향후에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지 않는다면 해당 건설사는 최대 45% 정도의 손실을 입을 수 있지만 유동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건설사에게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현금을 확보, 재무상태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이와 별도로 채권담보부증권(Primary-CBO)를 통한 현금마련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업장 중 취약포인트로 지목되는 뚝섬사업장은 사업계획을 변경할 계획에 있는 등, 일정수준의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미래의 골치거리를 털어내고 손실을 현재에 확정 지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정부의 부동산관련 규제 완화 및 폐지도 대림산업의 재무안정성확보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최근 발표된 양도세 중과 완화 및 폐지는 지방미분양물량 해소에 직접적인 도움은 주지 못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하지만 법인보유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양도세폐지는 계획중인 자산매각 등의 계획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도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하반기 대규모 적자로 동사의 급격한 수익악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유화부문과 자회사 YNCC도 최근 국제유가 안정화에 인한 마진상승으로 올 1·4분기는 흑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종합해서 볼 때 대림산업의 주가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해결책이 불확실한 주택미분양 및 자회사 리스크는 어느정도 해결책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