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OECD 합계출산율 60년새 반토막…韓, 8분의1 급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OECD 출산율 1.51명 사상 최저치
韓, 6명서 0.78명 급락…세계 최저

OECD 합계출산율 60년새 반토막…韓, 8분의1 급락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집계 결과 세계 주요국의 평균 합계 출산율이 1960년 이후 60여년만에 반토막이 난 가운데 세계 최저 출산율을 기록 중인 한국은 같은기간 무려 8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OECD가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60년 3.34명이었던 OECD 38개 회원국 평균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2년 절반 이하인 1.51명으로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6명에서 0.78명까지 낮아져 거의 8분의 1 수준으로 급락했다. 한국의 출산율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들어가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로, 인구 유지를 위해서는 최소 2.1명이 필요하다. 국가별로는 2022년 기준 스페인(1.16명)과 이탈리아(1.24명), 폴란드(1.26명), 일본(1.26명), 그리스(1.32명), 캐나다(1.33명) 등의 합계출산률이 1명대로 낮게 나타났다. 1명 이하인 곳은 OECD 회원국 중 한국이 유일했다.


OECD 전반적으로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평생 자녀를 갖지 않는 비율도 상승했다. 평균 출산 연령은 2000년 26.5세에서 2022년 30.9세로 높아졌다. 이 기간 한국은 29세에서 32.5세로, 이탈리아는 30.4세에서 32.4세로, 스페인은 30.7세에서 32.6세로 각각 올라갔다.


1975년생 여성의 무자녀 비율은 일본 28.3%, 스페인 23.9%, 이탈리아 22.5%로 한 세대 전인 1955년생 여성(각각 11.9%, 9.5%, 11.1%)의 배 이상이었다. 한국의 경우 1955년생은 8.3%였고 1975년생은 12.9%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젊은 세대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인식의 변화를 겪고 있다. 젊은이들은 경제적 독립, 고용·주택시장에서의 정착에서 점점 더 어려움을 느낀다"며 "상승하는 주거 비용도 출산율에 부정적 요인이며 코로나19와 기후 위기, 생활비 급등 등 연속적인 글로벌 위기로 젊은 세대의 경제적 불안이 커졌다"고 저출산 기조의 원인을 지목했다.


젊은 세대가 부모에게서 독립하지 못하고 실직 걱정에 시달리는 것도 저출산 기조를 심화시키는 현실적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20대 청년 비율은 한국(81%), 이탈리아(80%), 그리스(78%) 등의 순으로 높았다. 25∼54세 중 자신이나 직계가족이 단기간 내 실직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비율은 그리스(81%), 멕시코(78%)에서 높았고 한국은 64%였다.



보고서는 향후 나타날 경제, 재정적 압박을 경고하며 각국 정부의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인구 고령화는 세수 감소와 정부 지출 증가로 이어져 재정적 압박이 커질 것"이라며 "이민 정책, 생산성 향상은 물론이고 건강을 유지하며 더 오래 일하도록 돕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