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노경조 기자] 서울에서 노후 지하·반지하 주택이 가장 많은 곳은 강북구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서울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지하·반지하 주택은 20만2741가구로, 시 전체 가구(404만6799가구)의 5%를 차지했다.
주택 유형별로 ▲다가구주택 8만303가구(39.6%) ▲단독주택 7만3581가구(36.3%) ▲다세대주택 4만2130가구(20.8%) ▲다중주택 6727가구(3.3%)였다.
자치구별로는 ▲관악구(1만6265가구) ▲강북구(1만4121가구) ▲중랑구(1만2793가구) 등의 순으로 많았다.
다만 노후화를 따진 결과는 달랐다. 가구 수 기준 ▲강북구(1만4121가구 중 6434가구, 45.6%) ▲중랑구(1만2793가구 중 5731가구, 44.8%) ▲성북구(1만2604가구 중 5703가구, 45.2%) 등에 노후 지하·반지하 주택이 많았다.
비율상으로는 ▲금천구 57.2%(6222가구 중 3562가구) ▲강동구 53.4%(6429가구 중 3436가구) ▲서대문구 50.3%(8701가구 중 4379가구) 등이 노후 정도가 심했다.
서울 지하·반지하 주택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전반에 집중적으로 건설됐다. 전체의 80.9%가 1995년 이전에 사용승인을 받은 노후주택이다. 특히 1991~1995년 사용승인 비율이 37.7%로 가장 높았다.
서울연구원은 "지하층 주거를 양성화한 1984년 건축법 개정을 계기로 지하·반지하 주택이 급격히 확산했다"며 "이어 1988년 추진된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 일환으로 공동주택의 지하층 건축 기준이 완화되면서 지하·반지하주택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재해 취약 주택에 대한 실태조사를 거쳐 연내 종합대책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이달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관련 연구용역에도 착수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