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계엄령 선포 후, 한국인들 단결해 반발"
"어떠한 시간 지체도 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지 불과 11일 만에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과정을 두고 한 외신이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를 주목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탄핵안 가결과 관련해 "한국의 '빨리빨리'(Hurry Hurry) 문화가 도움을 줬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계엄 정국을 둘러싼 한국 정치권과 시민들의 신속함을 다뤘다. 블룸버그는 계엄 선포 후 채 2주도 채 되지 않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것을 두고 "효율성과 갈등 해결을 극대화하며 급속도로 산업화를 이룬 한국의 문화를 암시한다"고 했다. 또 빨리빨리 문화가 긍정적으로 발현되면서 한국이 글로벌 공급망의 정상에 오르고 산업, 정치, 대중문화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게 해줬다고 소개했다.
블룸버그는 삼성, 현대 등 대기업의 성공 배경에도 대담한 변화를 수용하는 빨리빨리 정신이 자리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후 국가 재건 사업도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은 빨리빨리 정신을 기반으로 급속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한국에 대해 "채 100년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일본의 점령에서 벗어나 북한과 전쟁에서 살아남았으며, 빈곤한 농업 경제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중 하나로 변화시키며 국내총생산(GDP)이 50년 전의 85배 수준으로 성장했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이처럼 한국의 경제 성장에 기여한 빨리빨리 문화가 이번 계엄 정국에서도 드러났다고 진단했다. 이 매체는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이후 한국인들은 단결해 반발하는 데에 어떤 시간도 지체하지 않았다"면서 "수천 명의 시위대가 서울 거리로 쏟아져나와 응원봉을 들고 K팝 히트곡에 맞춰 춤을 췄다"고 전했다. 시위에 참여한 한 시민은 블룸버그에 "빨리빨리 문화는 매우 강력한 도구"라면서 "이는 한국이 다른 국가들은 하지 못하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만드는 큰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빨리빨리 문화에 부작용과 부정적인 함의도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빨리빨리'는 인내와 생존을 내포하는 감정"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블룸버그에 "한국인들은 자신을 표현하는 것에 부끄러움이 없다"면서 "우리는 매우 열정적이며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강한 집착이 있다"고 말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