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휴전 이후 꺾인 방산주 급등세
휴전 이후에도 무기수요 크게 몰릴 전망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가 지난 27일 오전 4시를 기점으로 60일간의 일시적인 휴전에 돌입했다. 이는 약 13개월 동안 이어진 무력 충돌의 일단락을 의미하지만, 휴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과 중동 정세의 복잡성이 여전해 국제사회와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휴전은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양측이 서로의 군대를 국경에서 물리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스라엘군은 레바논 남부 국경지대에서 철수하고, 헤즈볼라는 니타니강 북쪽, 국경에서 약 25km 떨어진 지역으로 물러나기로 합의했다. 휴전 지역에는 유엔 평화유지군과 레바논군이 배치되어 철수 과정을 감시하고 재충돌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 휴전 합의는 그 배경과 내용을 두고 국제사회의 의구심을 사고 있다. 전쟁의 주요 무대였던 레바논의 입장에서, 레바논 정부는 직접적인 교전에 관여하지 않았음에도 휴전 합의를 감시하고 중재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는 헤즈볼라가 레바논 내에서 종교 조직, 주요 정치 세력, 군사 조직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이번 휴전 합의가 성사된 데에는 헤즈볼라와 레바논 내 정치적 압박이 큰 역할을 했다. 헤즈볼라는 전쟁으로 인해 주요 지도자들을 잃고 조직 기반이 약화된 상태에서, 재건을 위해 휴전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레바논 정부와 국민들 사이에서 헤즈볼라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고조된 것도 이번 휴전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한편, 이스라엘 역시 장기화된 전쟁으로 인해 국내 여론이 악화되고, 네타냐후 총리가 스캔들로 정치적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휴전의 필요성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이번 휴전을 환영하면서도 그 지속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휴전 합의 이후에도 양측 간 공습 소식이 이어지며, 60일간의 휴전이 실제로 지켜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휴전 이후에도 헤즈볼라의 군사 시설을 타격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헤즈볼라도 이스라엘의 군사 행동을 비난하며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동 정세의 복잡성은 이번 휴전의 지속 가능성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헤즈볼라의 약화로 인해 시리아 정부군은 반군에게 주요 도시를 빼앗기는 등 연쇄적인 도미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시리아 내전의 양상이 다시 복잡해지고 있으며, 극단주의 조직이 부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IS와 같은 극단주의 조직의 재부상이 우려되면서 국제사회는 중동 지역에서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휴전 이후, 가자지구에서도 휴전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에 강력한 압박을 가하며 휴전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하마스는 지하 터널을 이용해 항전 중이며, 이스라엘군은 이를 봉쇄하는 작전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하마스 측이 인질 문제를 협상의 주요 카드로 삼고 있는 반면, 이스라엘은 인질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협상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휴전 성사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자지구의 상황은 장기적 관점에서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 하마스의 지하 터널은 서울 지하철 규모에 비견될 정도로 광범위하며, 이를 모두 제거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스라엘은 주요 도심지의 지하 터널을 차단하며 하마스의 활동을 억제하고 있지만, 하마스가 장기 항전을 이어갈 수 없는 상황에서 결국 휴전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소식은 글로벌 방산 시장에도 큰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한국의 방산주 섹터는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큰 폭으로 상승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의 주가는 급락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전망이 지배적이다.
방산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휴전이 일시적인 조정 국면을 불러왔지만, 중동과 우크라이나의 장기적인 군비 강화 필요성으로 인해 방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재래식 무기 생산에서 글로벌 주목을 받고 있는 국가로, 향후 더 많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생산 확대와 유럽 시장 진출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출범은 중동 정세와 방산 시장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와 달리 중동 석유 의존도를 높이고 에너지 비용을 낮추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크다. 이를 위해 중동 지역의 안정이 필수적인 과제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나토 국가들에게 방위비 증액을 요구하며 군비 경쟁을 가속화할 가능성도 높다. 이는 한국 방산 기업들에게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중동과 우크라이나의 휴전 이후에도 군비 증강과 무기 비축 필요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한국의 방산 기업들은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휴전은 중동 정세와 방산 시장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장기적으로는 군비 증강과 방위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한국의 방산 기업들은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중요한 공급자로 자리 잡고 있으며, 중동과 유럽에서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휴전이 불안정한 상태로 진행되는 가운데, 중동 정세의 변화는 지속적으로 세계 경제와 안보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방산 시장은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며 성장의 가능성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송윤정 PD singasong@asiae.co.kr
이경도 PD lgd012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