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착한 암'은 없다…과잉진료 말라더니 사망률 높아진 '이 암'

시계아이콘00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생존율이 높고 진행 속도가 느려 '거북이 암' '착한 암'이라고도 불리던 갑상선암의 사망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갑상선 절제술을 받지 않았거나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2013년 이후 증가했으며, 반절제술이나 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전 기간 낮게 유지됐다.

연구진은 "2015년 이후 갑상선암 관련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것은, 과잉진단 논란 이후 진단과 치료에 적용된 기준에 보완할 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갑상선암의 위험도를 정확히 판단해 고위험 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이뤄져야 함과 동시에, 저위험 환자에게서는 과잉치료를 줄이고 정확한 추적관찰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과잉진료 논란 뒤 갑상선암 사망률 증가
"과잉진료와 과소진료 모두 주의해야"

생존율이 높고 진행 속도가 느려 '거북이 암' '착한 암'이라고도 불리던 갑상선암의 사망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여년 전 과잉진단·과잉치료 논란이 인 이후 사망률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착한 암'은 없다…과잉진료 말라더니 사망률 높아진 '이 암'
AD

7일 김신곤·김경진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진은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세계외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에 과잉진단 논란 이후의 갑상선암 사망률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과거 논란 이후 발병 환자 수는 줄었으나, 이후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2005~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총 43만4228명의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사망률 변화를 분석했다. 2005~2012년 한국인의 갑상선암 발생률은 꾸준히 증가하다가 과잉진단 논란이 불거지면서 줄어들었다. 2012년 10만명당 91.9명이었던 국내 갑상선암 환자는 논란 이후인 2015년 50.6명으로 급감했다. 그 뒤 2018년까지는 안정세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갑상선암 사망률은 2005년 1000명당 1.94명에서 2013년 0.76명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2018년 다시 2.70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갑상선 절제술을 받지 않았거나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2013년 이후 증가했으며, 반절제술이나 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전 기간 낮게 유지됐다.


'착한 암'은 없다…과잉진료 말라더니 사망률 높아진 '이 암' 김신곤(왼쪽)·김경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진은 "2015년 이후 갑상선암 관련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것은, 과잉진단 논란 이후 진단과 치료에 적용된 기준에 보완할 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갑상선암의 위험도를 정확히 판단해 고위험 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이뤄져야 함과 동시에, 저위험 환자에게서는 과잉치료를 줄이고 정확한 추적관찰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즉 갑상선암은 대체로 예후가 매우 좋지만, 드물게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은 경우가 있어 양극단의 특성을 모두 갖기 때문에 과잉진료와 과소진료 모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