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 케이블
친환경 에너지 늘어나면서 주목 받아
英, 호주 등 4000㎞ 프로젝트도 발주
고속 인터넷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는 '인터넷 해저 케이블' 붐을 경험했습니다. 케이블 붐은 통신 산업이 성숙기에 이른 현재 잠시 멈칫한 상태이지만, 어쩌면 다시 한번 재도약할지도 모릅니다. 단 이번에는 통신선이 아닌 '전선'이 수요를 북돋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해저에 깔린 수천㎞짜리 고압 전선
지난달 21일(현지시간) 호주 IT 기업 '아틀라시안'은 호주 정부로부터 4000㎞에 달하는 해저 전선 케이블 건설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케이블은 호주 해안에서 시작해 싱가포르로 연결됩니다. 이에 따라 호주의 광활한 평야에 세워진 태양광 패널 전력을 싱가포르에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완공 예정 시기는 2029년으로 예측됩니다. 만일 이 프로젝트가 현실화한다면, 인류 역사상 가장 긴 송전 시스템으로 이름에 남을 겁니다. 4000㎞급 송전망 프로젝트는 유럽에서도 진행 중입니다. 영국과 모로코 사이에 4000㎞ 길이의 해저 케이블을 연결해 영국의 풍력 발전 시설과 모로코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통합하겠다는 'X링크(Xlink)' 프로젝트도 가동 중입니다.
친환경 전환 성공하려면…'간헐적 에너지' 옮겨야
풍력, 태양광 등 친환경 발전 시설의 단점은 '간헐적 에너지(Intermittent Energy)'원이라는 겁니다. 즉, 바람이 많이 불거나 햇빛이 센 날에만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고, 궂은 날씨엔 발전량이 뚝 떨어진다는 뜻이지요.
이 때문에 친환경 발전의 시대엔 전력 공급보다 '수요 통제'가 더 중요해집니다. 수천㎞ 떨어진 국가들의 발전 시설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도 이런 수요 통제 계획의 일환입니다. A 국가의 전력이 부족할 땐 B 국가의 전력을 길어올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니까요.
다만 이전의 송전 기술로는 이런 광대한 송전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었을 겁니다.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의 발전 덕분에 수천㎞대 송전망 건설이 가능해졌습니다. HVDC는 교류 전력을 직류로 바꿔 송전한 뒤, 전기가 도착하는 지점에서 다시 교류로 바꿔 가정 등에 공급하는 기술입니다. 전기를 먼 거리까지 보내기에 최적화된 기술이지요.
HVDC 자체는 1950년대에도 이미 존재했지만, 그때는 본격적인 국가 간 송전을 꿈꾸기엔 너무 미약한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제조되는 최신 세대 HVDC는 전선 한 개에 최대 1.2기가와트(GW) 용량을 쏘아 보낼 수 있고, 1000㎞당 전력 손실은 3% 안팎에 불과합니다.
이미 인도 같은 대륙 국가는 1000~2000㎞에 달하는 '전기 고속도로'를 설치해 사용 중이며, 영국-모로코, 호주-싱가포르 프로젝트는 그 규모를 2배 더 늘릴 계획인 겁니다.
'인터넷 케이블'처럼 해저 HVDC도 붐 올까
호주-싱가포르 송전망이나 영국-모로코 X링크가 성공한다면,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갖춘 국가들끼리의 '송전망 통합'은 붐을 일으킬 겁니다. 당장 영국의 경우 2030년까지 최대 50GW의 해상 풍력 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며, 유럽 대륙도 100~150GW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해저 전선망 붐은 21세기 초 '인터넷 케이블 붐'과 유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999년부터 2020년까지 지구상에 깔린 해저 통신선은 갑절 이상으로 불어났습니다. 특히 미국의 4대 빅테크(구글·메타·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가 전체 투자액의 50%를 장악한 상태이지요.
초기에는 인터넷의 글로벌화를 위해 대대적으로 통신선 투자를 감행했고, 2010년대 들어선 클라우드 데이터 송수신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직접 통신선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지금 뜨는 뉴스
HVDC 케이블 사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21세기 초 인터넷 케이블이 경험한 폭발적인 수요 증대 수준까지는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친환경 에너지가 인류의 주력 발전원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드디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 걸지도 모릅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