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운용, 亞 최초 '미국S&P500동일가중 ETF' 23일 상장

시계아이콘01분 1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S&P500 구성 종목을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
"아시아 국가에서 첫 상장…투자자에게 새로운 선택지 제공"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아시아에서 최초로 '미국S&P500동일가중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다.


미래운용, 亞 최초 '미국S&P500동일가중 ETF' 23일 상장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부사장)가 19일 을지로 미래에셋센터원에서 열린 TIGER ETF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미래에셋운용
AD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9일 을지로 미래에셋센터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달 23일 유가증권시장에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를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는 미국 투자를 대표하는 S&P500 지수 구성 종목에 동일가중으로 투자하는 ETF다. 즉 500개 종목을 0.2%씩 동일하게 투자하는 방식이다. 대형주 대비 중·소형주의 성과가 더 크게 반영된다. 해당 상품은 지난해부터 미래에셋운용이 준비하던 ETF다. 김남호 FICC ETF운용본부 본부장은 "소수 종목에 쏠리는 형상이 지속하고 있던 상황에서 반대되는 전략이 뭐가 있을까 하면서 해당 ETF를 준비하기 시작했다"며 "해당 상품은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S&P500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구글 등 대형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7)’가 지수 상승을 주도하며 소수 종목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변동성 확대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는 미국 대표 종목에 분산 투자하려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미래에셋운용은 전망했다. 이경준 전략ETF운용본부 본부장은 "시장이라는 것은 어떻게 흘러갈지 알 수 없다"며 "현재 M7 등 소수 종목에 쏠린 것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준 것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운용, 亞 최초 '미국S&P500동일가중 ETF' 23일 상장 김남호 FICC ETF운용본부 본부장(왼쪽)과 이경준 전략ETF운용본부 본부장이 19일 을지로 미래에셋센터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TIGER 미국S&P500 동일가중 ETF'에 대한 질의응답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유현석 기자

이와 함께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는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해 상승한 종목의 비중은 줄이고(차익실현) 하락한 종목 비중을 높이는(저가매수) 전략으로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1990년 이후 현재까지 ‘S&P500동일가중 지수’와 ‘S&P500 지수’의 장기 성과 추이를 분석한 결과, S&P500동일가중 지수가 리밸런싱 효과로 더욱 우수한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남호 본부장은 "금리 인하 시기를 살펴보면 중·소형주가 대형주 대비 아웃퍼폼하는 경향이 있다"며 "동일가중 ETF의 경우 분기별로 리밸런싱을 하는데 바이로우, 셀하이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운용은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가 국내 유일 상품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해당 상품은 미국과 유럽, 캐나다, 호주 등에 상장된 S&P500 동일가중 투자 ETF가 아시아 국가에 상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지수산출 기관인 S&P다우존스지수가 엄격하고 보수적인 관점으로 라이선스를 내주는 만큼 다른 운용사에서 쉽게 내놓기 힘들 것으로 미래에셋운용은 예상했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부사장)는 "현재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6개국에만 상장된 이 상품을 국내에 소개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이 등장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독점 사용권을 명시하진 않았지만 다른 나라의 예시를 보면 우리가 독점권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