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대병원 집단휴진에 “항암 일정 지체...환자 죽음 문턱 내몰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진료 예약 변경으로 1만콜 대기 쌓여
환자, 간호사들 "의료계 제자리 찾아야"

서울대병원 집단휴진에 “항암 일정 지체...환자 죽음 문턱 내몰아”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환자와 환자 가족이 의료진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전공의 파업과는 또 다른 엄청난 공포와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고 했다.


김 대표는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수술, 항암, 방사선 여러 가지 다학제 치료를 해야 하는 중증질환자들을 전체적으로 다 (오케스트라처럼)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면서 교수들이 휴진하는 것은 엄청난 파장이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췌장암 환우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정상진료가 30%, 70%는 비정상 진료를 하고 있다는 예시도 들었다. 그는 “감기라서 하루 이틀 약 덜 짓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고 암환자들에게 4개월이라는 시간을 기다려 달라, 이해해 달라고 하는 것은 죽음의 문턱으로 내모는 것”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췌장암 의심 소견을 듣고 계속해서 병원에 전화를 돌리며 예약을 잡았지만 진료가 지체된 환자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첫 항암을 진행하는데도 시간이 지체돼, 병원 일정에 따라 항암 시간이 변경되고, 밀리기라도 하면 늘 불안에 떨어야 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집단휴진에 “항암 일정 지체...환자 죽음 문턱 내몰아”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작성한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이 붙어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분당서울대병원 노조 수석부위원장인 김영중 간호사도 같은 방송에 출연해 “(휴진 결정으로) 환자분들의 문의전화가 폭주하고, 하루 1만건 이상의 콜 대기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예약 변경을 하게 되면 외래 간호사나 진료과, 검사 부서에서 선행되는 감사부터 수술 스케줄까지 일정이 틀어져 모든 것을 다 변경해야 한다”고 했다.


김 간호사는 “병원 직원들이 의사와 마치 척지는 것으로 알고 계시면 잘못된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그 누구보다 환자 경과가 좋아지면 기뻐하는 것이 의료기관 종사자들”이라고 했다. 그는 “조속히 의정갈등이 해결돼서 환자는 더 이상 고통받지 않고 의료기관 종사자는 각자의 위치로 되돌아갔으면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서울대의대 산하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보라매병원·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개 병원 교수들은 휴진에 돌입했다. 오는 22일까지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에 나선 교수는 전체(967명)의 54.7%(529명)다. 교수들은 정규 외래진료와 수술을 중단하고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만 지속할 방침이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