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춘보고서]"흰 원피스 사요"…예비부부 울리는 결혼비용에 뜨는 '셀프 웨딩 촬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신혼집 마련 제외 평균결혼 비용 6298만원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자금부족' 응답

급격히 치솟는 결혼 준비 비용에 예비부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통상 4~6월은 결혼에 대한 수요가 높아 '결혼 성수기'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예식비용이 빠르게 오르면서 '웨딩플레이션(웨딩+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결혼식 비용에 부담을 느낀 예비부부들은 셀프 웨딩촬영을 시도하는 등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다.


'웨딩플레이션'에 결혼 주저하는 청년들도
[청춘보고서]"흰 원피스 사요"…예비부부 울리는 결혼비용에 뜨는 '셀프 웨딩 촬영' [이미지출처=픽사베이]
AD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지난 3월 기혼남녀 1000명(결혼 5년 차 이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신혼집 마련을 제외한 평균 결혼 준비 비용은 6298만원이었다. 일명 '스드메'로 불리는 스튜디오 촬영·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엔 479만원, 예식장 비용엔 990만원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신혼집 마련까지 고려한다면 결혼 준비 비용은 약 3억원에 육박한다. 고물가 영향으로 스드메, 웨딩 반지 등의 비용이 과거보다 상승해 결혼 비용이 치솟았다.


치솟은 결혼 비용으로 인해 결혼을 주저하는 청년도 늘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을 보면 전 연령대가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혼수 비용, 주거 마련 등 '결혼 자금 부족'(33.7%)을 꼽았다. 이는 '필요성 없음' 17.3%, '출산·양육 부담' 11.0%, '고용상태 불안정' 10.2%, '결혼 상대 못 만남' 9.7% 등 다른 이유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결혼 비용 줄여보자"…셀프 웨딩촬영 수요↑
[청춘보고서]"흰 원피스 사요"…예비부부 울리는 결혼비용에 뜨는 '셀프 웨딩 촬영'

결혼 비용에 부담을 느낀 예비부부들 사이에선 셀프 웨딩촬영 문화가 번지고 있다. 스튜디오에서 사진을 찍기보다는 자신과 가장 잘 어울리는 예복을 갖춰 입고 야외에서 자유롭게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다. 예비부부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셀프 웨딩촬영 후기가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알리익스프레스 같은 사이트에서 흰 원피스와 베일을 주문했는데, 베일이 2000원밖에 안 하더라"며 "꽃은 남대문꽃시장에서 사려고 한다. 남이 찍어주면 어색할 것 같아서 추억 쌓을 겸 사진들을 찍고 있는데 재밌다"고 말했다.


셀프 웨딩 트렌드로 '세레모니웨어' 매출도 급증하고 있다. 세레모니웨어는 결혼식, 돌잔치, 기념일 등 특별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입는 의류다. W컨셉이 지난 3월 11일부터 4월 10일까지 한 달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드레스·블라우스·재킷 등 세레모니웨어 매출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앱에서 세레모니웨어 키워드 검색량도 72% 대폭 늘었다.


美 MZ세대도 단돈 '50달러' 웨딩드레스 주목

[청춘보고서]"흰 원피스 사요"…예비부부 울리는 결혼비용에 뜨는 '셀프 웨딩 촬영'

'웨딩플레이션'은 국내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미국 역시 결혼식 준비 비용이 올랐다. 지난 2일 미국 매체 USA투데이 등은 결혼정보업체 더 낫(The Knot)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 평균 결혼식 비용이 3만5000달러(약 4800만원)로, 전년보다 5000달러(약 685만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결혼식 준비 비용에 미국 젊은층은 저렴한 웨딩드레스를 입고 결혼식장에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웨딩드레스는 2000달러(약 274만원)가 넘는다. 그러나 젊은층은 옷을 대량으로 생산해 저렴한 가격에 웨딩드레스를 판매하는 패스트패션 업체에 주목하고 있다. 포에버21, 쉬인 등 패스트패션 업체들은 약 50달러(약 6만8000원) 미만의 웨딩드레스를 선보였다.



패션 시장 분석 업체인 워스 글로벌 스타일 네트워크(WGSN)의 앨리슨 리스 전략가는 미 CNN을 통해 "생활비 위기는 Z세대에게 영향을 미쳤고, 이들은 재정 상태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며 "지난 몇 년간 시장점유율이 많이 늘어난 패스트패션이 더 저렴한 결혼식 의상에 대한 수요를 이용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