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유전공학 기술은 생명을 다루는 과학 기술이므로 철학적 논의를 수반한다. 타고난 유전체를 교정하는 것은 자연의 섭리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신이 만든 것인지 우연히 태어난 산물인지는 차치하고라도, 공학자들이 고장 난 기계를 수리하고 부품을 바꿔 끼우듯 유전공학자들이 인류의 삶을 더 풍요롭고 건강하게 하겠다는 목적으로 가축과 농작물 등의 결함을 제거하거나 장점을 극대화해 생명체의 본질을 바꾸는 것처럼 보이는 일을 하는 것이 과연 합당하다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지닌 유전체는 원래부터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렇기에 생물의 진화가 가능했던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는 지금도 유전체의 끊임없는 변화와 함께 존재하고 있다. 유전자치료도 유전체를 변화시키는 방법의 하나다.
인류는 유사 이래 줄곧 현실에 머무는 대신 끊임없는 호기심과 탐구 정신을 발휘해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을 추구해왔다. 인류를 위협하는 감염병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한 결과 수명이 길어졌고, 생활습관이 변화하면서 대사성질환이 많아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기도 했다. 과거에는 노인에게 당연히 발생하는 현상으로 받아들이던 노화, 기억력 감퇴, 유연성 부족 등도 건강한 삶을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받아들이면서 의학의 범위가 넓어졌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의 완성과 더불어 시작된 21세기에는 의학과 인체에 대한 이해가 훨씬 깊어짐으로써 개인별 맞춤 의학의 시대가 올 것으로 예견된다. 예를 들어 감기에 걸리는 경우 '특정 약이 몇 퍼센트의 확률로 얼마의 기간이 지난 다음 감기를 낫게 할 수 있을 것이다'가 아니라 '당신이 보유한 유전자에 가장 맞는 약 C를 투여하면 일주일 내에 현재의 증상이 없어질 것이다'같이 예측하게 될 것이다.
생명과학 지식이 늘어날수록 근본적인 의문이 더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인류는 건강 수명을 연장하고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하며 복지를 향상시킬 것이다. 과학은 인문학과 사회학의 도움을 받아 발전하며 더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 것이다.
-예병일, <유전공학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김영사, 1만3500원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