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전체 글로벌 펀드와의 동조세 강화
긴축기엔 글로벌 금융사이클과 동조세 뚜렷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펀드의 국내 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잔액은 2580억달러로 2009년 말(894억달러)보다 약 2.9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글로벌펀드의 국내투자는 주식과 패시브펀드를 중심으로 큰 폭 확대됐다. 주식펀드는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90% 내외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 패시브펀드의 비중은 2009년 말과 비교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패시브펀드는 MSCI, WGBI 등 특정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들을 펀드에 담아 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펀드다.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유출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체 글로벌펀드와 뚜렷한 동조세를 보이고 있다. 2010~2023년 중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와 전체 글로벌펀드 유출입 간 상관계수는 0.73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0.84까지 상승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과거엔 신흥국투자 펀드와의 동조성이 강했지만, 최근 들어 선진국투자 펀드와의 동조성이 강화됐다.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변동성은 축소되고 있다. 2020년 이전엔 대외요인보다 국내 요인에 더 크게 영향을 받으면서 글로벌펀드 변동성이 2배를 상회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투자자들의 투자행태 등 대외요인 변동성이 확대됐다. 이로 인해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와 전체 글로벌펀드와의 변동성 차이가 축소됐다.
글로벌펀드의 유출입은 글로벌 금융 사이클과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 달러화 지수 변동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 그 예다. 특히 글로벌 금융 사이클 긴축기에 동조세가 더욱 뚜렷해졌다. 이는 위기 기간에 글로벌 자본 유출입이 대외요인에 주로 영향을 받는 점에 기인한다. 안정기에는 대체로 대내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보고서는 국내투자 글로벌 펀드의 유출입 변동성이 낮아지는 점과 선진국투자 펀드와의 동조성이 강화되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패시브펀드 비중이 확대되거나 글로벌 금융 사이클 긴축기에 동조성이 강화되는 것은 국내 금융에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글로벌 금융 사이클 긴축기에 국내투자 글로벌펀드 유출입의 동조성이 강화되는 건 외국인의 증권자금 유출 압력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