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초·중학생, 믿고 의지할 친구 줄었다…"코로나19 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초등학생 교우관계 10년 새 '4.41점→4.16점'

서울의 초·중학교 학생들이 믿고 이야기할 친구가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서울시교육청 산하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가 2021년 서울 지역 초·중·고교생 1만4409명을 대상으로 '믿고 이야기할 친구가 있는지, 휴식시간에 친구들과 함께 지내는지' 등 교우관계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학생들은 5점 만점에 4.18점을 줬다.

서울 초·중학생, 믿고 의지할 친구 줄었다…"코로나19 영향"
AD

11년 전(2010년) 1만6297명을 대상으로 같은 질문을 했을 때 4.25점이었던 것에 비해 0.07점 낮아졌다.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만족도는 0.25점 감소(4.41→4.16점)하면서 하락 폭이 가장 컸고, 중학생(0.09점 감소)이 뒤를 이었다.


인문계고(0.06점 증가), 직업계고(0.01 증가) 학생은 만족도가 소폭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교우관계가 나빠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면서 "특히 초등학생들의 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중학교와 인문계고 학생들의 국어·수학·영어 방과후 프로그램 참여율도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특히 수학 과목의 중학생 참여율은 58.10%에서 35.74%로, 인문계고는 78.88%에서 13.79%로 크게 하락했다.


국어는 중학교의 경우 48.83%에서 33.91%로, 인문계고는 71.03%에서 14.20%로, 영어는 중학교가 60.26%에서 35.48%로 인문계고는 77.28%에서 13.46%로 줄었다.


반면,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졌다.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만족도는 2010년 국어·수학·영어에서 3.4점대였다가 2021년에는 4.0점 이상으로 올랐다. 고등학교는 3.0점대에서 3.7점대 이상까지 올랐다.


이외에 서울 학생의 전반적인 학교 만족도는 0.42점(3.54→3.96점) 상승했고, 학습 능력 배양 관련 만족도는 0.66점(3.30→3.96), 학교 시설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0.68점(3.20→3.88) 높아졌다.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3.62점에서 4.17점으로 좋아졌다.


스스로가 느끼기에 수업에 어느 정도 집중하는지 등 학습태도에 대한 평가도 3.70점에서 4.01점으로 좋아졌다. 특히 인문계고 학생들의 증가 폭이 0.46점(3.56→4.02점)으로 가장 컸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설문조사 내용을 담아 '지난 10년간 서울 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어떻게 달라졌나'는 제목의 '톺아보는 서울교육' 창간호를 17일 온라인으로 발간한다.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