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유튜브, 3년 간 900만원 수익"…외화벌이 수단으론 역부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튜브 채널 'New DPRK'가 3년간 적잖은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유튜브(YouTube)에서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北유튜브, 3년 간 900만원 수익"…외화벌이 수단으론 역부족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튜브 채널 'New DPRK'에는 리수진(Ri sujin), 연미(Yonmi) 등이 자신들의 일상을 브이로그 형식으로 소개하고 있다.[사진출처=유튜브 채널 캡처]
AD

매체에 따르면 동영상 조회 수가 1000회를 달성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금을 3달러(약 4000원)로 추정했을 때 지난 3년간 북한이 벌어들인 수익금은 약 6700달러(약 890만7000원)로 추산된다.


해당 매체가 언급한 계정은 여자 어린이 리수진(Ri sujin),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연미(Yonmi) 등 자신들의 일상을 브이로그 형식으로 소개하는 콘텐츠가 주로 업로드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네티즌들에게 큰 관심을 받으며 수백만의 조회 수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19년 10월 11일 첫 동영상을 게재한 이 채널은 현재까지 2만5000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200만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또 매체는 RFA는 수익 창출 여부를 알 수 있는 '원시코드'를 인용해 이 채널은 한 달에 약 50달러(약 6만6000원)의 수익을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RFA는 북한이 유튜브를 통한 수익 가능성을 인지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았고, 특정 영상 외에는 조회 수가 미미해 북한이 본격적인 '외화벌이' 창구로 이용할지에 대해선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채널은 약관 위반 등 문제만 없다면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매체는 보도했다.


유튜브 관리 회사인 '구글(Google)' 측 대변인은 RFA에 "구글은 북한과 관련된 법률과 미국의 해당 제재 및 무역 법률을 준수하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당사의 서비스 약관에 따라 관련 정책을 시행한다"고 전했다.



한편 대북제재로 교역이 막힌 북한은 외화벌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동자 불법 파견과 무기 판매, 밀무역 등이 주요한 외화벌이 루트로 알려졌다.




이보라 기자 leebora1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