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을읽다]흡혈박쥐의 역설…"퇴치해도 소용없다?"

시계아이콘01분 0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남미, 광견병 예방 위해 퇴치 나섰지만 기확산 지역은 소용없어
"예방적 개체수 관리 및 광견병 백신 접종 등 종합 대책 세워야"

남미 국가들이 광견병(rabies) 전파를 막기 위해 숙주로 알려진 흡혈박쥐(학명 Desmodus rotundus) 퇴치에 나서고 있지만 뜻밖의 효과에 당황하고 있다. 광견병 미확산 지역에선 효과가 있었지만 전파 지역에선 숫자를 줄여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사전적 예방 조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영국 글래스고대 연구팀은 지난 10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이같은 연구 결과를 전했다. 남미에서 발견되는 흡혈박쥐는 소 같은 동물의 피를 빨아 먹고 사는데, 이 흡혈박쥐가 광견병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고 있다. 많은 동물들이 흡혈박쥐에 물린 후 광견병에 걸려 폐사하고 있고 농부들에게 막대한 재정적 손해를 끼친다. 심지어 사람들도 흡혈박쥐나 다른 동물들에게 물려 광견병에 감염되는데, 말기까지 방치될 경우 치료가 어려워 공중 보건에도 위협 요소가 된다. 페루 등 남미 국가들은 광견병 확산을 막기 위해 '뱀파이어리사이드(vampiricide )'라고 불리는 독성 물질을 사용해 흡혈박쥐 퇴치에 나서왔다.


[과학을읽다]흡혈박쥐의 역설…"퇴치해도 소용없다?" 박쥐. 자료사진.
AD

연구팀은 페루에서 이같은 정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했다. 흡혈박쥐 퇴치 정책이 시행된 전후 2년간 페루 내 3개 지역에서 동물들의 혈청을 채집해 광견병 바이러스 감염률과 유전자 시퀀싱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광견병 확산 전인 곳에선 흡혈박쥐 퇴치 작업이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는 효과가 있었다. 흡혈박쥐 개체 수 감소로 광견병 바이러스 전파 기회가 적어진다는 것이다. 문제는 일단 발병이 시작된 지역에서는 흡혈박쥐 퇴치와 상관없이 광견병에 전염돼 죽는 동물들이 속출했다. 즉 흡혈박쥐 개체 수를 줄이는 것이 광견병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된다는 보건 당국의 판단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결과다.


연구팀은 '반응성 도태(Reactive culling)' 방식의 방역이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즉 흡혈박쥐들이 퇴치를 피하기 위해 도망가고 이동하는 바람에 기존의 서식 지역을 벗어나면서 오히려 광견병 바이러스 확산의 범위가 더 넓어진다는 것이다. 이전에도 흡혈박쥐 도살은 광견병 확산을 막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이번 논문은 좀 더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했고 도태 정책의 효과에 대한 포괄적인 고찰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다니엘 스트라이커 글래스고대 교수는 "마치 산불처럼 한쪽의 불씨를 끄려고 하면서도 다른 곳에서 또 다른 불씨가 타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과 같다"면서 "광견병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적 도살을 통해 흡혈박쥐의 개체 수를 줄이고 광견병 백신을 보급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