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퀄컴과 소프트웨어 최적화…공동 프로모션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LG이노텍이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인 'CES 2023'에서 고배율 광학식 연속줌 카메라모듈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DSLR이나 미러리스 같은 전문 카메라에 주로 적용되던 망원 카메라 기능을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초소형 부품이다. 모듈 두께를 최소화해 ‘카툭튀’를 완전히 없앤 점도 매력 포인트다.
이 모듈을 스마트폰에 적용하면 고배율인 4~9배 구간에서 광학줌 촬영이 가능하다. 줌 방식은 크게 광학줌, 디지털줌으로 나뉜다. 광학줌은 렌즈를 직접 움직여 피사체를 확대하기 때문에 화질이 유지된다. 모듈 하나로 4~9배율 구간을 자유롭게 오가며 광학줌 촬영이 가능하다. 모듈 개수를 줄일수록 폰 내부 공간을 확보하고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스마트폰 제조사 입장에서 환영할 만한 점이다. LG이노텍 관계자는 회사 기술력에 대해 "최근 광학식 연속줌 모듈로 ‘CES 혁신상(CES 2023 Innovation Awards)’을 받으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모듈에 20년 가까이 축적된 LG이노텍만의 광학 기술을 담았다고 회사 측은 알렸다. 4~9배율 사이 모든 구간에서 또렷하고 깨끗한 화질을 구현하기 위해 줌 액츄에이터를 독자 개발한 것. 줌 액츄에이터는 초점거리를 바꾸거나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를 움직여주는 부품을 말한다. 새 설계 방식을 적용한 OIS(광학식 손떨림 방지)로 떨림에 의해 흐릿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선명도도 높였다.
고객이 불편해하는 '카툭튀'를 없앤 점도 눈에 띈다. 모듈 두께를 최소화해 완전히 변수를 제거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학줌 모듈은 고배율일수록 초점거리가 길어져 모듈 두께가 두꺼워진다. LG이노텍은 렌즈 설계와 모듈 구조를 새롭게 혁신해 카툭튀를 해결했다.
이번에 공개한 모듈로 LG이노텍은 스마트폰 카메라모듈 세계 1위 입지를 확고히 다진다는 방침이다. 세계적인 고객사들의 광학줌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시장 선점 속도를 높인다는 복안이다.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인 TSR에 따르면 세계 광학줌 카메라모듈 수요는 2021년 1970만개에서 2025년 9050만개로 빠르게 늘 전망이다.
현재 LG이노텍은 미국 퀄컴의 신규 프리미엄 스냅드래곤8 2세대 모바일 플랫폼에 탑재될 광학식 연속줌용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다. 두 회사는 CES 2023에서 제품 공개를 시작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대상의 공동 프로모션에 한층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지금 뜨는 뉴스
정철동 LG이노텍 사장은 "스마트폰용 카메라는 프리미엄급 폰을 중심으로 광학줌의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라며 "스마트폰용 카메라모듈 선도 기업으로서 혁신제품을 한발 앞서 선보여 고객가치를 지속 혁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