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남·북부 GRDP 4.8배 격차…경기硏 "퀀텀점프 성장전략 시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기도 남·북부 GRDP 4.8배 격차…경기硏 "퀀텀점프 성장전략 시급"
AD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 남부와 북부의 지역내총생산(GRDP) 비중이 4.8배의 격차를 보이고 근로자 월평균 급여액도 31만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이 22일 발간한 '퀀텀점프를 위한 경기북부지역 발전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경기 북부지역의 GRDP는 도 전체의 17.3%로, 인구 비중(26%)을 밑돌았다.


1인당 GRDP도 남양주(1534만원)·의정부(1549만원)·구리시(1698만원) 등 북부 지역이 남부지역에 비해 대체로 낮았다.


지역생산성과 종사자 소득을 나타내는 근로자의 평균 급여액(2021년 기준)은 경기 북부지역이 월 263만원으로 도 전체(285만6000원)의 92.1%, 경기 남부(294만2000원)의 89.4% 수준이었다.


지역 성장의 기술적 효용성을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 분석 결과, 2010년 대비 2019년의 총요소생산성 개선은 화성·이천·하남·수원·군포의 순으로 모두 남부 지역이었다.


혁신성장역량 분석의 경우 사람·교육 역량지표에선 두 지역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연구개발(R&D)과 창업 역량지표에선 북부가 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남·북부 GRDP 4.8배 격차…경기硏 "퀀텀점프 성장전략 시급"


경기연구원은 북부의 저발전·침체는 산업혁신, 인프라, 규제 요소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인천·경기 남부보다 특화산업·기술, 기업·대학·R&D 등 산업혁신거점이 발달하지 못했고, 광역교통 인프라와 대중교통 접근성에서도 취약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수도권, 팔당상수원, 군사시설 등의 규제가 성장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경기연구원의 진단이다.


이에 따라 경기연구원은 기존의 성장 방정식을 건너뛰는 '퀀텀점프' 방식의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해 지역생산의 기술적 효용성을 높이고(총요소생산성 제고), 과학기술과 산업 고도화로 지역·기업혁신을 높이는(혁신역량 제고) 해법을 제안했다.


경기도 남·북부 GRDP 4.8배 격차…경기硏 "퀀텀점프 성장전략 시급"


그 전략으로는 산업구조 개편을 위한 하이테크섬유, 바이오메디컬, 메디푸드, 신재생에너지, 레포츠, 군납산업 등 '6대 신성장산업' 선정과 '6대 기업 유치지구' 조성을 제안했다.



이상대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 북부지역은 30여년간 산업단지 조성, 교통인프라 건설, 일산·양주·다산 신도시 건설 등에도 불구하고 저발전 낙후지역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며 "좁혀지지 않는 발전 격차를 줄이려면 퀀텀점프 방식의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