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세종=손선희 기자] 지난 4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가 1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한국경제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제조업의 성장 동력이 하락하고 있다는 신호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4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5.0(2015년=100)으로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2차 대유행이 극심했던 2020년 8월(104.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산능력지수는 올 들어 1∼2월 105.1을 기록한 뒤 3월 105.4로 올소폭 올라섰다가 4월에 다시 떨어졌다. 원자재값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대외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기업들이 생산을 낮춘 것으로 분석된다.
업종별로는 전자부품(-2.1%) 식료품(-2.1%), 금속가공(-1.6%) 등을 중심으로 생산 능력이 떨어졌다. 제조업 가동률지수(103.5)도 전월 대비 1.6% 하락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지난달보다 1.3%포인트 감소한 77.0%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11월(75.1%)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다. 제조업 재고는 0.2% 늘고, 출하는 2.3% 줄면서 재고비율은 117.2%로 전월 대비 2.8%포인트 올랐다.
제조업이 위축되면 고용시장에도 여파가 전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조업 일자리는 국내 임금 근로 일자리 중 약 2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가운데 대외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어 앞으로의 경기 전망도 밝지 않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1로 전월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9.3으로 0.3포인트 떨어지면서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